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갈등이 개인의 사회참여를 매개로 정부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장시간 근로에 따른 일-가정 갈등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일-가정 갈등으로 인해 시간의 압박을 받게 되면, 개인의 사회참여가 줄어들 가능성이 존재한다. 사회참여의 감소는 정부 혹은 타인에 대한 신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갈등이 개인의 사회참여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성균관대학교 공존협력연구단에서 2015년도에 실시한 <한국사회의 갈등과 협력에 대한 인식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일-가정 갈등을 경험할 수 있는 자영업자, 일반 근로자 등 직업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일-가정 갈등과 사회참여, 정부신뢰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일 초래 가정 갈등은 개인의 공적 및 사적 참여를 증가시키고, 이를 매개로 하여 정부신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 초래 일 갈등은 개인의 공적 및 사적 참여를 감소시키고, 이를 매개로 하여 정부신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정 양립을 통해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고 정부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제언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s on the trust of the government through the social participation. Recently, in Korean society, the problem of work-family conflicts due to long working hours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If individuals experience pressure of time due to work-family conflicts, there is possibility that social participation could be reduced. The reduction of social participation can cause reduction of trust the government or other people. So,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s on trust of the govern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We use the 「Survey on Conflict and Cooperation in Korean Society」, and the research target is people who have jobs. As a result, we found that work-to-family conflict increases social participation and through this is increases government trust. On the contrary, family-to-work conflict reduces social participation and government trust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eriv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enhancing the government trust through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