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t the turn of the century, social policy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onfronts new challenges and risks caused by the multiple crises in finance, food, energy and climate change. Changes in the structures of risks are particular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global economic crisis starting in 2008 has provided a new context of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have responded to these new challenges and risks differently. What risks do these responses aim to address? How can these responses address these risks? Can these diverse responses offer lessons for lower income economies attempting to address social development challenges alongside economic growth in the globalised and increasingly uncertain 21st century context?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ritical review of the new trends, phenomena or directions of social policy discourse and practice to respond to the new risks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 Explaining the nature and forms of new challenges and risks and pointing out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social policy discourse, it introduces the key points of the previous research we have to keep in mind in formulating alternative social policy approaches. General principles and core elements of social policy in addressing new challenges and risks in the 21st century, which are particularly visible in social policy reforms in emerging economies, are highlighted as a conclusion.


세기말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사회정책은 금융, 식량, 에너지, 기후분야 등의 복합적인 위기로 인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면서, 대응해야할 위기 구조의 변화가 명확해졌다. 2008년부터 시작된 전세계적 금융, 경제 위기로 인해 세계정치경제 구조의 새로운 조건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에 많은 발전도상국과 선진국들은 새로운 위기와 도전에 응하기 위해 사회정책의 개혁을 다양한 방식으로 추구하기 시작했다. 이들 개혁들은 어떤 특정한 위기와 도전에 대응하였는가? 이러한 다양한 개혁방안들은 사회정책 개혁을 추구하는 국가들, 특히 세계화와 불확실성 시대인 21세기에 경제성장과 사회개발을 동시에 추구해야하는 개발도상국에 어떤 교훈을 주는가? 본 논문은 새로운 도전과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정책 개혁 담론과 정책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동향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첫째, 사회정책이 대응해야 할 새로운 위기와 도전의 본질과 다양한 형태를 분석한다. 둘째, 개혁담론과 정책의 한계점을 논의한 후, 신흥부국의 사회정책 개혁이 주는 긍정적인 측면과 그 정책적 시사점을 밝힌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위기와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정책의 근간이 되는 원칙과 핵심요소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