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탄허는 유교와 불교 사이에서 노장학을 자득했다고 한다. 불교의 선교쌍수(禪敎雙修)를 통해 막혔던 『장자』가 해부가 되었다고 한 만큼 그의 『장자』 주해에는 불교적 주석과 해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남화진경역해(南華眞經譯解)』에서 인용한 총33가(家)의 주석을 내편 7편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하고, 박서계(朴西溪)와 초횡(焦竑)의 주석본과 채록횟수를 비교해 본 결과 탄허 자신의 주석이 압도적으로 많이 수록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자신의 불교적 안목과 자득한 경지를 집중적으로 개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논자는 주석본과 특강강의를 병행하여 7편의 내용을 분석하고 각 편의 핵심을 ‘무기(無己)’, ‘물화(物化)’, ‘연독(緣督)’, ‘심재(心齋)’, ‘망형(忘形)’, ‘좌망(坐忘)’, ‘혼돈(渾沌)’의 키워드로 추출하고 이에 대한 탄허의 불교적 해석과 회통적 주석을 고찰했다. 아법구공(我法俱空)의 무아(無我), 중도(中道), 이근원통(耳根圓通), 생사해탈(生死解脫), 영지(靈知), 현존일념(現存一念)의 기멸(起滅) 이전의 경지 등의 불교적 교리를 통해 『장자』의 중심사상을 회석(會釋)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탄허는 불교를 통해서 『장자』를 온전히 이해하게 되었기에 그의 불교적 해석과 회통사상은 단순한 지향이나 관념이 아닌 본인의 수행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귀결된 것으로 파악된다. 불교를 통하고 난 뒤 비로소 『장자』의 의문점이 환히 풀렸던 자신의 체험과 신념이 그의 경전번역 가운데 가장 많은 자가주석(自家註釋)을 채록한 특색 있는 주해본을 양산한 원인이 되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Tanheo Taekseong (呑虛宅成) asserted that he mastered Taoism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ecause of this, there are many Buddhist commentaries and explanations for his Chuang Tzu (莊子) translation. In this paper, I catalogued seven of the 37 comments Tanheo quoted and analyzed them respectively. I also compared Park seo-kye (朴西溪) and Chiao Hung (焦竑) comments, and discovered that Tanheo's own comments ware the most copious. In addition,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se works and distilled them into seven key-words. Those are no-self (無己), transformation of things (物化), middle way (緣督), the fasting of the mind (心齋), forgetting shape (忘形), sitting down and forgetting everything (坐忘), and chaos (渾沌). Then, I looked into Tanheo's Buddhist interpretations and commentary. As a result, I discovered that he was interpreting the central idea of Chuang Tzu through Buddhist doctrines. Tanheo understood the contents of Chuang Tzu through Buddhism. For this reason, he translated and annotated the book using his own performance and experience. Therefore, he wrote a rare book that contained many of his own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