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조선 왕조에서 15세기 후반에 전개된 대외무역 확대의 실제와 그 기반을 규명한 연구이다. 15세기 후반 이후, 대중국 무역은 赴京 使行 사무역과 변경의 불법 밀무역 분야 모두에서 활발하였다. 역관과 관인층이 중심이던 부경 사무역은, 이 시기에 들어 경상을 중심으로 한 부상대고들이 이들을 대체하여 무역 주도층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癸亥約條를 기본 장정으로 하여 진행되던 대일 무역에서도 성종조 이후 조선의 상인들과 왜인들과의 거래가 삼포와 도성을 중심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었다. 조선 정부는 한 때 화원현에 倭物庫를 두고 이를 통제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대일 사무역을 중개하던 삼포 항거왜인의 숫자 역시 격증하였다. 15세기 후반 대외무역의 확대는 이 시기에 전개된 국내 상업의 발전, 곧 시전의 확대와 장시의 확산이 그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여기에 관인 지배층 사이에서도 말업을 통한 殖貨 양상이 확산되면서, 그 결과로서 사치 풍조가 만연하였고, 이는 곧 대외무역의 발달로 연결되고 있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condition and the actuality of the foreign trade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16th century. Since King Seongjong’s reign, the trade with China, which was composed of private trade accompanied by Boogyeong Sahaeng(赴京使行) and smuggling in borderlands, became active. While interpreter officers and government officers originally led the private trade accompanied by Boogyeong Sahaeng, their role came to be replaced by rich merchants(富商大賈) who were growing as new trade leaders. At the time, the trade between the merchants of th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people was greatly expanded mainly in Sampo(三浦) and the capital based on Gyehae agreement(癸亥約條). The Joseon government once attempted to control this trade by building warehouses for Japanese trade items in Hwawon town. However, the failure of the policy resulted in the wide increase of permanently resident Japanese in Sampo who brokered private trade with Japan. The expansion of foreign trade in the late 15th century was founded o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mmerce. Furthermore, as government officers began to amass wealth through commercial business, luxury trend was widespread, and it was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foreign t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