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1929년 조선인과 재조일본인에 의해 각각 발행된 경성지역 안내서 『경성편람』과 『대경성』을 비교하여 양자의 경성 인식을 살펴보았다. 『대경성』과 『경성편람』은 모두 1929년의 조선박람회 관람을 위해 경성지역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라는 기본 성격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목차와 구성이 유사하였다. 그러나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가장 뚜렷하게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은 경성의 민족별 ‘이중구조’와 관련된 부분이다. 하지만 이는 조선인과 일본인 독자가 여행자로서 소비하는 것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두 책의 경성지역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여준다고는 할 수 없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설명에서 인식의 차이가 보이는가 하는 것이었다. 『경성편람』의 편찬자 백관수도 서문에서 일본인들이 발행한 기존의 안내서가 가진 관점상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와의 차별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경성편람』과 『대경성』의 경성지역에 대한 인식・관점의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경성이라는 지역 인식에 있어서 두 책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던 이유는, 책이 발행된 시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와 편집자, 그리고 서문의 필진의 성향을 고려하면 『경성편람』은 1920년대 후반 민족주의 계열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1920년대 말은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인들은 점차 ‘체제내화’하고 재조일본인들은 점차 ‘토착화’하는 시기였다. 이 시기 양자의 거리는 『경성편람』 편집자들의 생각보다도 그다지 멀지 않았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perceptions of both sides of the Kyeongseong Guidebook, 『Kyeongseongpyeonram(京城便覽)』 and 『Dae󰠏Kyeongseong(大京城)』, which were published in 1929. Both 『Kyeongseongpyeonram』 and 『Dae󰠏Kyeongseong』 are guidebooks for those visiting the Kyeongseong area for the 1929 Joseon Exposition, so their contents and composition are similar—but not the content. The most obvious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dual structure' of ethnic groups in the Kyeongseong area, but i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what Koreans and Japanese readers consume as tourists. We cannot say that the two books show a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he Kyeongseong area. A more important point was whether there was a perceptual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same subject. In his preface, the compiler of 『Kyeongseongpyeonram』, Mr. Baek Gwansu (白寬洙),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guides issued by the Japanese and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Overall,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meaningful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between the two books. The reason wh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ooks in the perceptions of the Kyeongseong area did not show up clearly can be explained by the time of publication of the book. Considering the tendencies of the publisher, the editor, and the writers of the preface, 『Kyeongseongpyeonram』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nationalist intellectuals in the late 1920s. In the late 1920s, the Korean nationalist intellectuals were more ‘co󰠏opted’, and the Japanese settlers gradually became ‘inculturated’. I think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was not as great as they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