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최인훈의 소설 『화두』에 나타난 정치적 주체성의 구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1960년 4·19혁명이 일어나던 해의 11월, 『새벽』지에 연재된 문제작 『광장』 이후로 최인훈은 『구운몽』, 『회색인』, 『서유기』, 『태풍』 등 다수의 장편소설을 발표해왔다. 이들 장편소설에서 최인훈은 식민지 조선의 독립, 한국전쟁, 4.19혁명 등의 주요한 역사적 사건을 다루며, 한국사회에 대한 역사적·정치적 성찰을 지속했다. 소설 『화두』는 냉전이 종식되고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던 1992년 이후에 발표된 소설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다. 소설 『화두』에서 이북 출신의 소년이었던 ‘나’는 이데올로기적 장치였던 ‘자아비판회’로 인해 유년 시절 심리적 외상을 겪게 되지만, 이후 사회주의 이론과 현실 사회주의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치적 주체성을 마련하게 된다. 반주변부 국가의 지식인이었던 ‘나’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정확히 이해하는 일에 처음에는 어려움을 겪지만, 이후에는 맑스의 『자본론』을 직접 독해하고 중국의 장제스(蔣介石), 저우언라이(周恩來), 마오쩌둥(毛澤東) 그리고 스페인의 프랑코 등에 대해 쓴 신문기사를 읽고 현실사회주의 정치가와 현실사회주의 정권의 역사에 대해 학습한다. 그리고 이러한 계기들을 통하여 ‘나’는 사회주의의 이론 및 구현 양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기초하여 건립된 러시아를 여행한 ‘나’는 냉전 구도 하에서 중심부 국가였던 과거의 소련에서 사회주의가 어떻게 운용되었는가를 파악한다. 또한 이러한 여정에서 스탈린 정권에 의해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폭압성이 드러났다는 점을 ‘나’는 확인하게 된다. 1930년대의 소련에서 스탈린은 소수민족들을 강제이주시켰으며, 러시아 내의 소수민족 중 하나였던 카레이스키들은 지금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지역 등으로 이주하여 박해를 받았다. 식민지 시기 소설가 조명희 역시 카레이스키였으며, 그는 최인훈의 소설 『화두』가 탄생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소련으로 이주한 이후 조명희는 사회주의를 내국화하자고 주장했으며, 거대 담론에 일방적으로 복속되지 말고 그것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자고 그는 또한 요청했다. 소설 『화두』에는 이데올로기의 억압성에서 벗어나 정치적 주체성을 마련한 인물의 형상이 담겨 있다. 본 논문은 『화두』의 ‘나’가 사회주의라는 거대 담론을 어떻게 수용하고 정치적 주체성을 마련해 나가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earch is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political subjectivity in Choi In-Hun's novel. In South Korea, a revolution took place on April 19, 1960. In November of that year Choi In-Hun published a problematic novel The Square in the magazine “Dawn”. Since then, he has published several novels, such as The cloud dream of Nine, the Gray Man, The Journey to the West, and The Typhoon. Writer Choi In-Hun wrote important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independence of the colonial Joseon,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June 25, 1950, and the ‘4.19 revolution’ which occurred on April 19, 1960 in these novels. Through writing these themes in his novels, he continued his historical and polit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The novel Hwadu was published after 1992 when the Cold War ended and the Soviet Union was dismantled, and this novel contains a sense of the problem of socialist ideology. I, who was a boy from North Korea before the liberation of the colonial Joseon from the novel Hwadu, experiences psychological trauma in his childhood due to his self-criticism, which was an ‘ideological device(dispositif)’ of socialism. However, afterwards he grasps the theory of socialism and the working principles of real socialism, finally he establishes his political subjectivity. I, who was an intellectual in the semi-peripheral state, initially suffers from a precise understanding of socialist ideology, but later on he read newspaper articles on Chiang Kai-shek, Zhou Enlai, Mao Zedong and Franco in Spain, and learn about the history of real socialist politicians and real socialist regimes. Through these occasions, finally I can understand the theory and the implementation of socialism. And I traveled to Russia built on the basis of socialist ideology and understood how socialism was operated in the former Soviet Union, which was the central state in the Cold War era. I also confirm that the Stalinist regime revealed the violence of socialist ideology. In the Soviet Union in the 1930s, Stalin forced the minorities to migrate, and the Korean Russian, one of the ethnic minorities in Russia, were persecuted by moving to Kazakhstan and Uzbekistan. In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Cho Myung-Hee was also Korean Russian, and he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birth of Choi In-Hun's novel Hwadu. After moving to the Soviet Union, Cho Myung-Hee insisted that socialism should be modified to meet the needs of the mother country. And he also asked us not to be unilaterally subordinated to the grand discourse, but to accept it in a subjective way. In conclusion, the writer Choi In-Hun shapes the person who has escaped the suppression of ideology and dramatically provided one’s political subjectivity. This search will examine how the 'I' of Hwadu accepts the grand discourse of socialism and establishes his own political subje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