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丁若鏞의 易學은 曆法的 세계관의 반영으로서, 역학사적으로 漢代 역학자들의 역법적 세계관에 바탕한 역학에 상당 부분 찬동하는 역학이다. 정약용의 역학은 또 漢代 象數易의 한 특징인, 『周易』의 기호와 언어를 매개하는 ‘象’을 중시하는 역학이다. 정약용의 이러한 관점들은 그의 역학체계 전반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특히 그의 ‘再閏之卦’에 대한 해석에서 드러난다. 역법의 의의는 천체운행의 공간적 상황을 시간으로 표현한 것이며, 그 기본축은 1년의 12달이라는 시간흐름의 순환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이것은 기본 역법체계의 平年과 平月이며, 이만으로는 실제 천체 운행을 그대로 반영할 수 없다. 왜냐하면 실제와 기본 역법체계 사이의 오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 오차를 반영한 것이 閏年과 閏月이다. 정약용은 平年·平月의 기본 역법체계를 12개의 四時之卦로 나타내고, 閏年·閏月에 해당되는 괘를 ‘再閏之卦’로 이름하였는데, 이것이 곧 ‘中孚卦’와 ‘小過卦’이다. 그래서 이러한 사시지괘와 재윤지괘로서 역법의 기본체계가 다 갖추어지고 이 괘들이 중심괘가 되어 64괘 중 나머지 50개의 괘, 즉 그가 말하는 50衍卦가 연역되어 나온다고 주장한다. 정약용 역학의 재윤지괘의 존재 의미는 이 세계의 변화운행에는 그 기본축 외에도 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는 요소가 존재한다는 그의 특징적 세계관에 있다. 또, 당연하게도 다른 괘들과 마찬가지로 재윤지괘인 중부괘와 소과괘도 그 괘사와 효사의 해석에는 그의 상수역 이론이 적용된다.


Yagyong Jung's Yi-theory is the reflection of his calendar world view based on the view of Yi-theorists of the Han漢 Dynasty period. And his Yi-theory is a theory to put stress on the images象 which mediate between symbol and language in 『Zhouyi周易』(『Book of Changes』), that view is a characteristic of the Doctrine of Images and Numbers數 in interpreting 『Zhouyi』 in the Han Dynasty period. This point of view of Yagyong Jung can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all of his Yi-theory, especially to his interpreting two ‘Zairunzhigua’es which mean the hexagrams to symbolize two leap months in five years. The significance of a calendar is to describe the spatial situation of the celestial movements in time, and the basic axis is to be expressed as a recurring cycle of twelve months of a year. But this is just the axis of common year and common month of the basic calendar system. These common year and common month alone can not mirror all of the actual celestial movements. Because there is the gap between the actual celestial movements and the basic calendar system. To correct this gap is leap year and leap month. Yagyong Jung expresses the basic calendar system of common year and common month by 12 ‘Sishizhigua四時之卦’es which mean the hexagrams to symbolize four seasons and twelve months of a year, and he names the hexagrams that corresponds to leap year and leap month as two ‘Zairunzhigua’es, those are ‘Zhongfugua中孚卦’ and ‘Xiaoguogua小過卦’. So according to his view, these ‘Sishizhigua’es and ‘Zairunzhigua’es embody the basic fabric of the calendar, from which other 50 hexagrams of 64 hexagrams of 『Zhouyi』 are developed, he calls the hexagrams ‘50yangua五十衍卦’es. The significance of ‘Zairunzhigua’es of Yagyong Jung's Yi-theory is, in the changes and operations of the world there is an element that corrects the gaps that may arise there in addition to the basic axis.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 of the world. And, of course, in case of ‘Zairunzhigua’es, namely ‘Zhongfugua’ and ‘Xiaoguogua’, here as elsewhere his theory of the Doctrine of Images and Numbers ar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ymbol and language of the hexagrams卦 and the lines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