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챗봇의 목적은 인터넷 환경에서 4차혁명 인공지능 기반의 친근하고 감성적인 인간형 에이젼트 구현이지만, 시각 및 감성적 요소를 지배하는 쳇봇 GUI 디자인 방법론의 효과적인 개발 플랫폼이 없어 감성적인 쳇봇의 GUI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쳇봇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쳇봇 GUI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경험 디자인 이론을 고찰하고, 예비조사를 통하여 ‘챗봇 GUI 평가 요소’를 도출하였고, 관련설문을 통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챗봇의 GUI 요소(레이아웃, 타이포그라피, 이모티콘, 이미지, 아이콘)의 정량적 차이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적 및 감성적 측면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관점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용자의 가독성과 인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모바일에 최적화된 GUI 디자인이 요구된다. 둘째, 성별에 따른 디자인 선호도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디자인이 요구된다. 셋째, 감성적 요소를 통해 사용자와 챗봇 간의 긴밀한 소통이 가능하게 하는 의인화적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러한 체계적인 결과는 향후 다양한 챗봇 디자인 연구에 있어서 효율적인 디자인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re is no efficient platform to implement the chatbot's graphic user interface (GUI), which has visual and emotional factors in the chatbot, resulting in difficulty in the GUI development, even though the aim for use of the chatbot is to implement intimate and emotional, i.e., humanlike agents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intern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pose an effective GUI design method for the chatbot, by analyzing diverse examples of the chatbot based on the UX theory. In order for that, the evaluation elements for the chatbot's GUI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UX design theory and by doing the pilot survey, and then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It has been concluded that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in the users had strong correlation with numerical differences of the chatbot's GUI factors such as layout, typography, emotion, image, and icon. This work has yielded the three remarkable conclusions for design methodology of the chatbot. Firstly, the GUI design is required to produce high readability and recognition, so that it can be optimized for mobile environments. Secondly, the design is needed to be customized to satisfy each preference by gender. Lastly, the design with personification factor is required to allow users to intimately communicate with the chatbot using the emotional design factor in it. This work should provide an efficient guideline for various researches of the chatbot's GUI desig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