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erson can be understood as a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 Among the variables that enable language variation are social identity, ethnic group, age, occupation, etc., but gender can not be overlooked either. Then, what image of a woman is contained in a language that can be called a mirror of culture? How much do women’s social status reflect? Language is both a reflection of social reality and its discrimination is performed verbally. Language is a semi-image of social structure and cultural value, and is also a means of conveying beliefs, views, and prejudices. Therefore, language is an effective means of reflecting and inducing changes in society’s consciousness. Healthy language must respond to new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and value evangelism. Conversely, social change must be reflected in language. Considering the use of language and it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s like examin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 language community, and this is the key to studying the mental structure revealed by the language concept of the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consider the identity of a group. In this paper, we try to define the past and present world image of ‘woman’ in Russian society by analyzing the asymmetric use of language caused by gender difference through the data of both the official and the transcript.


언어와 개인의 관계는 사회와 개인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 언어의 변이를 가능하게 하는 여러 변수들 중에는 사회적 신분, 소속 민족, 연 령, 직업 등도 있지만 성별 역시 간과할 수 없다. 그렇다면 문화의 거 울이라 할 수 있는 언어에는 여성의 어떤 이미지가 담겨 있을까? 여성 의 사회적 지위는 어느 정도 반영할까? 언어는 사회적 현실의 반영이면 서 동시에 그 차별은 언어적으로 수행된다. 언어는 사회적 구조와 문화 적 가치의 반영상이며 신념, 견해, 편견 등의 전달수단이기도 하다. 그 러므로 언어는 사회의 의식변화를 반영하고 유도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라 할 수 있다. 건강한 언어는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인 새로운 현상과 가치전도에 부응해야 하는 것이다. 역으로 사회적 변화는 언어에서도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언어의 쓰임과 그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찰하는 것은 한 언어공동체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고찰하는 것과 마찬가지이 며 이는 곧 해당 공동체의 언어적 개념에 드러난 정신구조를 연구하는 핵심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는 한 집단의 본질 (идентичность)을 고찰할 수 있게 한다. 본고에서는 성 차이에서 기인하는 언어의 비대칭적 사용을 공시적·통 시적 자료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러시아 사회의 ‘여성’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세계상을 정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