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조선후기 낭천현의 정조호장 『선생안』을 통해 향리 가문의 성관 분포와 호장 직역의 계승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하였다. 낭천현에서는 낭천 정씨, 선산(해평) 길씨, 낭천 장씨, 밀양 박씨가 정조호장을 각각 10%이상씩을 점유하고 있었다. 낭천 정씨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고, 다음으로는 선산(해평) 길씨이다. 이들 4성관의 호장 점유율은 77.8%이다. 나머지 인동 장씨, 남양 홍씨 등의 9성관은 22.2%의 낮은 점유율로 호장을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 10%이상의 정조호장을 차지한 4성관(낭천 정씨, 선산 길씨, 낭천 장씨, 밀양 박씨)은 토착 성관이었음에 반해, 소수의 호장을 차지했던 9성관은 토착 성관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이를 통해 이 지역의 호장 직역의 성관별 분포는 소수의 토착 성관이 호장 직역을 독점하는 가운데, 다수의 비토착 성관이 소수의 호장 직역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정조호장 성관의 시기별 분포를 통해 호장을 배출한 성관의 특징을 좀 더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낭천 정씨 등 주요 4성관은 비교적 전 기간에 걸쳐 고르게 호장을 배출하고 있는데 비해 그 외의 성관은 다소 분산적으로 호장을 배출하고 있었다. 인동 장씨와 남양 홍씨는 19세기 중․후반에 호장을 배출한 반면, 문화 유씨와 진주 하씨 등은 19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호장을 배출한 후, 더 이상 호장을 역임하지 못하고 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향리사회에 신분귀속성이 떨어진다는 일부 논리는 이 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다수의 호장을 배출한 4개 성관이 어떤 방식으로 호장 직역을 계승하고 있었는지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호장 직역의 계승은 지역을 대표하는 4개 성관에서도 쉽지 만은 않은 문제였음을 알 수 있었다. 몇 몇의 경우는 三代가 연속으로 호장을 계승했으나, 다수는 二代나 一代에 한하여 호장을 역임하는 경우였다. 이는 향리 가문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능력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호장에 선출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urname distribution and Hojang position succession patterns of local officials’ families based on the Jeongjo Hojang Seonsaengan in Nangcheonhye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In Nangcheonhyeon, the Nangcheon Jeong, Seonsan(Haepyeong) Gil, Nangcheon Jang, and Milyang Park families occupied ten percent of Jeongjo Hojang each. The Nangcheon Jeong family recorded the highest occupation rate, being followed by the Seonsan(Haepyeong) Gil family. The combined occupation rate of these four surnames in Hojang was 77.8%. The remaining nine surnames including the Indong Jang and Namyang Hong families recorded a low occupation rate of 22.2% While the four surnames(Nangcheon Jeong, Seonsan(Haepyeong) Gil, Nangcheon Jang, and Milyang Park) that occupied ten percent of Jeongjo Hojang or more were native family names, the other nine surnames that recorded a low occupation rate were hardly found among the native family names. These findings provide some information about the surname distribution of the Hojang position in the area, indicating that a small number of native surnames had a monopoly over the Hojang position and that many non-native surnames held the position in a small percentage. The study then examined further the characteristics of surnames that produced Hojangs based on their distribution in Jeongjo Hojang by the period and found that the major four surnames including the Nangcheon Jeong family produced Hojangs evenly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whereas the remaining surnames produced Hojangs in a rather dispersive manner. While the Indong Jang and Hamyang Ho families produced a Hojang in the middle and late 19th century, the Munhwa Yu and Jinju Ha families produced one around the 19th century and failed to succeed the position since then. There was no ground to confirm in this area the logic that the status attribution to the local home town gradually dropped toward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study then examined how the four surnames that produced many Hojangs succeeded the position and found that the succession of the position was not a simple issue even for the four surnames that represented the local community. Some families succeeded the position over three generations in a row, and many others succeeded the position only over one or two generations, which suggests that individuals should have their abilities recognized to be selected as Hojang even among local officials’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