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930년대 초반 반천도교운동의 전개와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1930년대 초반 반천도교운동의 시작은 1932년 『신인간』에 발표된 「조선운동과 영도문제」를 통해 시작됐다. 이 글은 천도교 신파 내에서 담론 생산에 주력했던 전문가 집단인 ‘천도교청년당 동경부’ 그룹의 입장이 반영된 글이었다. 천도교청년당 동경부그룹은 이 글을 통해 사회주의 세력 비판을 전개했다. ‘천도교청년당 동경부’ 그룹의 사회주의 세력 비판은 사회주의 세력을 무능하고 기만적인 세력으로 묘사함으로써 천도교 신파의 헤게모니를 확대시키려고 했던 담론 전략이 내포된 것이었다. 사회주의 세력은 이런 천도교청년당 동경부 그룹의 비판에 역비판하는 글을 발표했고, 이과정에서 잡지 『신계단』의 발행인 유진희가 폭행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유진희 폭행사건을 기점으로 사회주의 세력은 반천도교운동을 이끌 천도교정체폭로비판회를 결성했다. 그리고 잡지를 통해 천도교를 비판하는 담론투쟁을 전개했다. 사회주의 세력의 천도교 비판은 천도교 세력의 이론적 결함과 기만적 성질을 드러내는데 집중됐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사회주의 세력 사이에 서로 다른 인식이 나타났다. 한 쪽은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으로써 반천도교운동을 이끌고자 했던 세력이었고, 다른 쪽은 다양한 세력이 참여하는 ‘대중적 운동’을 강조한 세력이었다. 이 두 세력은 반천도교운동을 둘러싼 문제의 원인과 대응방식에서 다양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런 점에서 1930년대 초반 반천도교운동은 합법공간에서 활동하던 사회주의 세력 사이의 인식 차이를 보여주는 프리즘이었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Anti-Chundogyo Movement in the early 1930s with focus on its launch and significance, which began with “leadership problem of Joseon movement” published in The New Humanity in 1932. That article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group of Tokyo department of Young Men’s Party of the Chundogyo, the specialist group devoted to discoursive production within the Chundogyo’s New faction. In that article, the group of Tokyo department of Young Men’s Party of the Chundogyo moved to criticize the socialist group. The group of Tokyo department of Young Men’s Party of the Chundogyo,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of socialist group, criticized the socialist group as an incompetent and deceptive group in a discoursive strategy to expand the hegemony of Chundogyo’s New faction. The socialist group countered the criticism of the group of Tokyo department of Young Men’s Party of the Chundogyo by publishing articles, and in this process, an incident arose in which Yu Jin-Hui, the publisher of the magazine Shingyedan, was attacked physically. The Yu Jin-Hui violence incident prompted the socialist group to form Chundogyo-identity exposure criticism association that would lead Anti-Chundogyo Movement. In addition, through the magazine, they launched the discoursive struggle to criticize Chundogyo. The socialist group’s criticism of Chundogyo focused on exposing the theoretic defects of Chundogyo and its deceptive aspects. In this process, however, different positions emerged within the socialist group. One group claimed to lead the Anti-Chundogyo Movement as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while the other group emphasized the popular movement in which diverse forces could participate. These two groups were divided over their Anti-Chundogyo Movement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the problem and their response measures. Eventually, the Anti-Chundogyo Movement in the early 1930s was a prism that showed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socialist group that launched activities in leg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