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노동자의 노동관에 영향을 준 진로발달시기의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그 요인별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패널데이터(panel data)이고, 구체적으로는 7차년도(2011)의 원자료에서 추출한 취업자 3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청년노동자들의 노동관은 그들의 진로발달시기에 형성된 자아인식 관련 변인의 사회성자아, 가정환경 관련 변인의 부 학력, 그리고 학습동기인 외재적 학습동기와 내재적 학습동기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재적 학습동기의 경우 향후 노동에 대해 동기와 가치 부여에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발달시기의 자아인식 관련 변인과 가정환경 관련 변인은 학습동기를 매개로 청년노동자의 노동관에 인과관계를 갖고, 영향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진로발달시기에 형성된 학습동기는 청년노동자들의 노동관 형성에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factors during the career development period affecting the formation of the perspective on work of young workers after they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The panel data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was used for the study. Specifically, the data on the 303 employees in the 7th year(2011) of their employment was used. First, perspective of young workers on work was affected by social self (self-awareness-related variables),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ir father(family background-related variables), and intrinsic and extrinsic learning motivation(learning motivation-related variables) formed during the career development period. However, extrinsic learning motivation had a passive and negative effect on motivation and giving value to work. Second, the variables related to self-awareness in the career development period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family background were found to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of young workers’ perspective on work.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learning motives formed during the career development period are found to be very meaningful and important variables for the formation of young workers' perspective on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