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퇴직자들이 퇴직 경험으로 말미암아 교육기부활동을 하게 된 동기는 어떤 것인지, 어떤 경험을 하고 변화해 나갔으며 또한 그것은 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경험학습의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퇴직자의 퇴직 이후의 경험은 다음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나타난 대표적인 퇴직 후의 감정은 소외감정이다. 어쩔 수 없이 고립된 스스로의 모습을 통감하며, 자신이 좌우할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힘에 의해 소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전환점으로서의 퇴직상황은 그 동안 없었던 삶의 공백을 경험함으로서 공허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허함이라는 감정을 느끼면서도 퇴직자 스스로의 출발점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제3의 인생에 대해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기부활동을 퇴직 이후 해나가는 퇴직자들의 사회관계망 형성, 개인성장의 경험학습 발현과정으로 보고,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새롭게 등장하게 된 사회적 약자인 퇴직자를 대상으로 학습경험의 의미를 발견하였다. 이는 육체적, 정신적 역량의 차이로 인한 무기력감에 시달리는 소외 계층이나 사회보장 취약 계층에 대한 기초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는 점에서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The research looked at what the retirees were motivated to do with their retirement experiences, what experience they experienced and what it meant to them. There are three things that retirees experience after retirement : First, the typical post-retirement sentiment shown to the participants is the feeling of alienation. It turned out that he felt deeply moved by his inevitable isolation and was left out by the force of force he could not control. Second, it turns out that the retirement as a turning point for research participants feels empty by experiencing the absence of life that has never existed. Third, it turned out that while feeling empty, he wanted to create his own starting point and expected a third life. This research saw educational donation activities as a process of creating social networks for retirees who go on with their retirement and learning the experiences of personal growth. This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from later studies that research suggests that the underprivileged and the underprivileged suffer from a sense of incapacity due to differences in physical and mental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