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묵가의 철학은 전제군주제를 옹호하는가 아니면 민주주의적인가? 묵가의 정치사상이 기본적으로 전제군주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데에는 큰 이견이 없지만, 구체적인 성격에 대해서는 많은 입장이 존재한다. 이는 많은 경우 상동(尙同)편에 대한 해석과 관련되는데, 상동편에서 국가와 정치적 지도자의 기원을 이야기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원리로서의 상동을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정재현의 논의를 비판하며 묵가의 정치사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접근한다. 정재현은 묵가 사상을 합리주의로 해석하며, 상동 역시 변(辯)과같은 맥락에서 합리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본다. 이를 통해 정재현은 묵가의 정치사상을 민주주의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상동과 변을 곧바로 연결시키는 정재현의 입장에는 무리가 따르며, 상동에는 변에서 드러나는 논리적이고 개념적인 차원과는 다른 면모가 포함된다. 이는 곧 통치술 차원에서의 관습적이고 제도적인 면모라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우리는 정치적 합리성에 대한 묵가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


Today, there are many interpretational differences to the political thought of Mozi. Does philosophy of Mozi advocate total monarchy or democracy? This paper criticizes Jung Jae-hyun’s argument and intends to reach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thought of Mozi. Jung Jae-hyun’s position to link ‘identifying upward’ and 辯 directly in my view is excessive, and ‘identifying upward’ includes aspects that differ from the logical and conceptual dimensions revealed on the sides. In other words, it is true that unification of righteousness of ‘identifying upward’ is an ideal point, but there is a certain aspect of governmental practice to realize it in concrete terms. However, this interpretation does not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political thought of Mozi is merely an absolutist. The political ideology of Mozi clearly shows a reasonable element, which is not a logical dimension of Jung Jae-hyun’s argument, but is a level of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