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공동체의식의 변화 양상을살펴보고,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종단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자료(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1차, 3차, 5차년도 2,35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또래애착과 공동체의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또래애착의 초기값은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또래애착의 변화량은 공동체의식의 변화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또래애착의 초기값이 공동체의식의 변화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통제변인 중 가구소득, 부모애정, 체험활동은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공동체의식 변화량에는성별, 부모애정, 체험활동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대한 논의를 통해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또래애착에 대한 상담 개입방법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the sense of community change by time and test the longitudinal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a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Using the data of 2,351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cquired from the 1st, 3rd, and 5th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Latent Growth Model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hypothesized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er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from the first-year in middle school to the second-year in high school increased by time. Second, the initial value of peer attachment influenced the sense of community in a significantly positive way. The changes of peer attachment influenced those of sense of community in a significantly positive way. However, the initial value of peer attachment did not influence the changes in the sense of community significantly. Third, among the control variables, household income, parents’ affection, and experiential activity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the sense of community significantly, and sex, parents’affection, and experiential activity influenced the changes of the sense of community significantly. Through discussion of these results, this author provide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s well as interventions with peer attachment to enhance the sense of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