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 선별에 대한 적응행동 관찰자 평정척도의 판별 정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1명의 유·아동 일반 및 발달지체 집단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적응행동 관찰자평정척도를 실시하였다. 먼저, 일반집단(상, 중, 하)과 발달지체 집단 간 적응행동 수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적응행동 관찰자 평정척도의 일반집단과 발달지체집단 간 판별 정확성을 살펴보기 위해 ROC 분석을 실시하고 민감도와 특이도를 산출하였다. 일원분산분석 결과, 유아집단의 경우, 일반 상위/중위/하위 집단과 발달지체 집단 간 차이가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집단의 경우, 일반집단과 발달지체 집단간 차이보다 일반 상위/중위/하위 집단 내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ROC분석 결과, 유아 집단의 경우, 하위요인‘기초개념’, ‘건강과 안전’, ‘대인관계와 예절’이, 아동집단의 경우, 하위요인 ‘지역사회서비스’, ‘시간과 측정’, ‘통신서비스’의 AUC 영역이 모두 .9 이상으로 높은 판별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본 적응행동 평정척도는 전반적으로 발달지체 선별에 대한 높은 판별 정확성을 갖춘 검사도구로 향후 발달지체 선별과정에서의 활용성을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discriminant validity of Adaptive BehaviorObserver Rating Scale for screening Developmental Delay. A total of 151of children from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study. First, one 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between the general group(upper, middle, lower) and developmentaldelay group. Second, ROC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accuracy of discrimination between general group and developmentaldelay group,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calculated. Ourfindings indicate that in the case of kindergartener, the gap betweenupper/middle/lower general group and developmental delay group wassignificant and in the case of pre-schooler, the difference within theupper/middle/lower general group were significant compared to thedevelopmental delay. Also, AUC domain of ‘Basic concepts’, ‘health &safety’, ‘Personal relationship & Manners’ sub-factors and ‘Self incommunity’, ‘Time & Measurement’, ‘Communication’ sub-factors wereabove .9, indicating high discriminant accuracy of screening Developmental Delay. Conclusively, Adaptive Behavior Observer Rating Scale is a highlyvalidated test tool for Developmental Delay screening, and itsapplicability in the process of screeing developmental delay is exp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