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세기 중⋅후반에서 20세기 전반의 한글간찰을 대상으로 주제격과 목 적격에 대한 표기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15세기의 주제격 ‘ /은/ /는’과 목적격 ‘/을//를’이 주제격은 ‘/은>은’과 ‘/는>는’, 목적격은 ‘/을> 을’과 ‘/를>를’로 단일화가 됨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체언말음이 폐음절일 때 의 주제격과 목적격, 그리고 체언말음이 개음절일 때의 주제격과 목적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19~20세기 전반의 한글간찰에서는, 체언말음이 폐음절일 때 는 주제격 ‘은’과 목적격 ‘을’로의 단일화적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체언 말음이 개음절일 땐 주제격 ‘/는>는’과 목적격 ‘/를>를’로의 단일화가 아닌 주제 격은 ‘, 는, 난, 은’, 목적격은 ‘, 를, 랄, 을’ 등의 여러 형태로 나타나면서, 그 중 에서도 주제격은 ‘’과 ‘난’이 비교적 높은 빈도를 보이는가 하면, 목적격은 체언말 음이 개음절임에도 폐음절일 때의 ‘을’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ubject case and objective case of Hangeul Letters from mid-to-late nineteenth century to overall of twentieth centur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subject cases and objective cases respectively in closed and open syllables of nominal stem suffixes, considering that subject cases ‘/은//는’ and objective cases ‘/을//를’ are simplified into subject cases ‘/은>은’ and ‘/는>는’, and objective cases ‘/을>을’ and ‘/를>를’.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unified aspects in that the suffixes are a subject case ‘은’ and an object case ‘을’ when they are closed syllables. However, the nominal stem-suffixes appear in the forms of the subject cases ‘, 는, 난, 은’ and the objective cases ‘, 를, 랄, 을’, not in the unified forms of the subject cases ‘/는>는’ and the objective cases ‘/를>를’ when the suffixes are open syllables. Particularly, this finding shows that the relatively frequent usages of the subject cases are ‘’ and ‘난’ among the subject cases mentioned above while the most frequent usage of the objective cases is ‘을’ in both open and closed syllables of the suffix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