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수업 사례와 학습자들의 반응을 토대로 동료피드백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II에서는 동료피드백과 인성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동료피드백과 인성교육의 접점을 찾아보았다. II.2에서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인성교육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동료피드백은 동료 학습자의 유의미한 활동에 대하여 또 다른 동료 학습자가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의 견해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개개인이 합의점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상대에 대한 배려와 존중, 자신의 표현에 대한 책임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이 추구하는 것과 매우 밀접하다. 인성의 핵심 덕목인 존중, 배려, 소통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동료피드백이라는 활동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존중과 배려, 소통 능력이 자연스럽게 습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III에서는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형성’, ‘관계를 고려하여 소통하는 피드백’을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지향점으로 제안하고, 이를 교수자 측면, 피드백 제공자 측면, 피드백 수용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IV에서는 실제 수업에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사례를 토대로 동료피드백의 인성교육적 가능성과 시사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수업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동료피드백은 배움 공동체 안에서 학습자가 동료와 동료의 활동 결과물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이다. 또한 생각한 바를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해 사고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인성교육에서 강조하는 ‘알맞게 표현하는 예절’, ‘타인에 대한 존중’, ‘부여된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는 책임’ 등의 덕목을 자연스럽게 함양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teach personality education using “peer feedback” by examining it in a classroom scenario and analyzing the learners’ responses. In Chapter 2,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research on peer feedback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finds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 two. In Section 2.2, the concept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are examined. This study also looks at how peer feedback should be conducted with relation to personality education. Peer feedback is defined as a learner suggesting his or her own opinion about another learner’s activity. It is also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define a common ground through the process of exchanging opinions. This process presupposes care and respect for the other party, as well as the responsibility to express oneself. In this respect, it is very close to what personality education pursues. Communication abilities can thus be learned naturally by engaging in the activity of peer feedback, rather than by explicitly being taught respect, care, and communic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suggests a “community formation based on participation” and “feedback to communicat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s practical principles of personality education using peer feedback, and examines this by dividing personality education into the catagories of faculty, feedback provider, and feedback recipient. In Chapter 4,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peer feedback based on cases where peer feedback was applied in actual classes. Peer feedback in the context of classrooms implies that the learner is interested in and thinking about the outcomes of their peers and their activities in the learning community. Also, we can think about how to express what we think within the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se experiences, virtues which are emphasized in personality education, such as “properly expressing etiquette emphasized in personality education”, “respect for others”, and “responsibility for assigned roles”, can be naturally cultiv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