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한국 중·고등학생들의 쓰기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쓰기에 대한 은유 표현과 이유 기술문을 수집한 후,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활용하여 학생들이 지닌 쓰기 인식을 분석하였다. 먼저 이유 기술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감정 분석을 실시하여 극성(긍정, 부정)과 무극성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키워드는 극성 별로 군집화를 통해 자동 범주화하였는데, 무극성은 4개의 범주로, 긍정과 부정은 각각 2개의 범주로 군집화됨을 확인할수 있었다. 핵심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범주 명을 명명한 결과 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은 타자 지향적 사고, 도구적 사고, 자기 지향적 사고, 본질적 사고, 태도_긍정, 태도_부정, 효능감_긍정, 효능감_부정의 여덟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각 범주에 따라 어떤 은유적 표현들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살피기 위해 범주별로 은유 표현들을 워드 클라우드로 제시하였다. 동일한 은유 표현이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 예도 있었으나, 대체로 은유 표현들은 범주별로 상이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유 기술문의 범주와 은유 표현의분석을 통해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쓰기 인식에 대해 추정 가능했다. 이 연구를 통해 은유 분석을 활용한 인식 연구에서 텍스트 마이닝이새로운 방법론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writing using text mining. Samples of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descriptive writing of reason were obtained from students used to analyze students’ awareness of writing . First,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descriptive writing of reason and a sentim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keywords into polar (positive, negative) and nonpolar words. The classified keywords are automatically categorized through clustering by polarity: nonpolar keywords are clustered into four categories, and positive and negative into two categories each. As a result of naming the categories with a focus on the main keyword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writing was categorized into eight types: 1) self-oriented recognition, 2) other-oriented recognition, 3) intrinsic recognition, 4) instrumental recognition, 5) attitude_ positive, 6) attitude_ negative, 7) efficacy_ positive, and 8) efficacy_ negative. To intuitively examine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in each category, this study presented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in word clouds. In some cases, the same metaphorical expressions belonged to different categories, but generally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showed differences among the categories. By analyzing the categories of descriptive writing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it was possible to estima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writing. This study verified that text mining can be used as a new methodology in awareness studies using metaphor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