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소리 내어 읽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하여 어떤 경험과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설문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리 내어 읽기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이나 수업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실행률이 낮았다. 둘째, 소리 내어 읽어주기의 주된 목적으로 주의 집중과 내용 이해 점검을 꼽았다. 셋째, 교사와 학생의 소리 내어 읽기 모두에서 문학 텍스트를 적절한 텍스트로 보는 쏠림현상이 나타났다. 넷째, 많은 교사들이 텍스트를 구성하는 다양한 양식 읽기를 실천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학생의 의지 부족에 대한 고민과 함께, 학생의 소리 내어 읽기 지도법 부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상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초기 문식성과 독립된 읽기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대화하며 소리 내어 읽기’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interactive read-alouds: which directly helps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the early literacy stage.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read-alouds is positive, but the actual execution rate is low due to lack of class time. Second, the purpose of reading aloud was to let teachers know what they understood. Third, teachers chose literary text mainly as text appropriate for read-alouds. Fourth, many teachers reading alouds multimodal texts. Fifth, teachers complained about students‘ motivation and lack of teaching methods of read-alouds.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nteractive read-alouds' which is directly helpful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between early literacy and independent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