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성애의 현상』에서, 마리옹은 성애적 현상을 통해 진리의 의미인 확실성을 의문에붙인다. 그에 따르면 자아는 더 이상 회의를 통해서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로부터 사랑을 받는 자로서 규정된다. 이런 성애 속에서 자아의 존재는 연인으로서 정당화된다. 이런 점에서 마리옹은 에고 코기토로서 인간존재에 대한 묘사는결국 인간됨의 독특함을 망각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근대적 진리의 모형인 확실성으로 인해 근대적 인간은 허무와 니힐리즘의 위험에 처한다. 하지만 ‘어떤 이가 나를 사랑하는가?’라는 질문으로 대표되는 에로스의 환원이 시작되면서 인간은 이런 앎의 대상성에서 빠져나와서 인간적 진정성에 도달할 수 있다. 성애의 질문은인식중심의 문제를 존재론적 허망함으로 이끈다. 그리고 이 허망함은 최종적으로자기애의 불가능성을 알려준다. 결국 근대적 주체에 의해 정초된 확실성의 기준이헛된 것임을 폭로하면서 근대적 주체의 자기애의 욕망에서 성애의 욕망으로 이행해야 할 필요성을 확보한다. 이런 성애화 속에서 우리는 상호주관성의 본질적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In The Erotic Phenomenon, Marion argues that by an erotic reduction, the meaning of truth as certitude est put in doubt. This means that the self is given not mainly through doubt, as in Descartes’ Cogito ergo sum, but through the fact that one is loved by someone else: only through this love from the outside can the existence of the self as lover or be loved be justified. On this point, Marion also claims that the traditional metaphysical depiction of the human being as the ego cogito forgets what is most unique to humanity: the question of love. Thus ‘to be or not to be’ is not the main question of the philosophical quest. The human being risks vanity and nihilism by referring to the question of certitude; only when this being inaugurates the erotic reduction by asking ‘Does anybody out there love me?’, can it become authentically human. Yet even this question leads to a type of ‘ontological’ vanity (as being loved is valued more than love) and also to the impossibility of self-love, and so the erotic reduction must be radicalized with the question, ‘Can I love first, even without being loved in return?’ This radicalization allows us to find out new possibility of intersubjectivity based on the erotic phenome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