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익명성에 기인한 악성댓글 행동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정보시스템 연구에서 크게 주목받지못해 왔다. 현재까지 이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교육학, 심리학 등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익명성과 악성댓글 행동이 온라인 환경에서 벌어지는 중요한 현상이기 때문에 정보시스템 연구의 주요한 관심사이어야 한다는관점을 갖는다. 본 연구의 주요한 관심은 사이버폭력 연구와 악성댓글 연구가 익명성과 비행적 행동 사이의관련성을 다룬다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모델의 설계 방식이 다르고 그에 따른 연구 결과도 다르게보고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버폭력 연구들은 대부분 매개변수(도덕성 또는 합리성)를 활용하여 사이버폭력 행위에 대한 익명성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검토하고 모두 매우 유의하다는 일관된 결과를보고하였다. 반면에 악성댓글 연구들은 예외 없이 악성댓글 행위에 대해 익명성의 직접적인 영향을 검토하고일관성이 결여된 혼재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악성댓글 연구에 매개변수(도덕성과 합리성)를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차이가 여전히 발생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연구모델에 매개변수들이도입됨에 따라 익명성과 악성댓글 사이의 직접적인 효과가 완전히 무효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대부분의 사이버폭력 연구들에서 매개변수로 고려되어온 도덕성은 합리성과 함께 고려될 때 매개변수로서의역할이 상당히 감소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익명성과 악성댓글 관계에 간접적인 경로모델의설정이 연구결과의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임을 제시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악성댓글에 대한합리화가 향후 악성댓글의 이론적 메커니즘 개발 연구에서 중요한 매개적 변수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게시판 관리자들은 악성댓글이 빈번히 발생하는 게시판에서 사용자의 익명성을제한할 필요성을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자들은 악성댓글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써 사용자들의 합리화태도를 낮추는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Malicious comment behavior caused by anonymity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even though it is a serious social problem. Most of studies about this behavior have been conducted in education and psychology fields. We view that anonymity and malicious comment behavior should be a major concern of information system research because they are concepts closely related to online environments. Our main interest in the study is in that, although cyberbullying and malicious comment researches in common deal with relationships between anonymity and delinquent behaviors, they have differently designed research models and subsequently shown different patterns in study results. Specifically, most of cyberbullying studies examined the indirect effect of anonymity on cyberbullying behavior through mediators(morality or rationalization) and reported consistent results that anonymity influence cyberbullying. On the other hand, malicious comments studies without exception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anonymity on malicious comment behavior and reported inconsistent and mixed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whether such difference in study results still occur by introducing mediators(morality and rationalization) in the malicious comment research.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direct effect between anonymity and malicious comments are completely nullified as the mediators are introduced into the research model. In addition, we found that mediating role of morality, which has served a mediator in most cyberbullying studies, is significantly reduced when it is considered together with another mediator, rationaliz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direct path model setting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nonymity and malicious comment can solve the discrepancy of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ationalization of malicious commen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in the development of the theoretical mechanism of malicious comments in the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line bulletin board managers can argue the necessity of restricting the anonymity of users on bulletin boards where malicious comments frequently occur. In addition, managers will need to pay attention to lowering the rationalization attitude of user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maliciou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