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ality and challenges of us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Nepalese classrooms for fulfilling the learning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whole research process of the study was guided by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followed by descriptive research design. Furthermore, quota, purposive,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were used to select the sample of the study, and then semi-structured interview schedule, focus group discussion guideline, and classroom observation form were used as the main instruments to collate in-depth information from head-teachers,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reality and challenges of us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special and integrated schools in Nepal. Study result reveals that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were not differentiated deliberately at the classroom to cope special need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cept very few examples. Lack of prerequisite knowledge, limited resources in the schools, poor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poor practice of cooperative teaching, unfavorable leaning environment, and lack of alternative evaluation procedures were found as major challenges to differentiate instructional activities in special and integrated schools.


이 연구는 네팔의 학급에서 장애학생들의 학습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차별화교수의 현실과 과제를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패러담의 기술적 연구 설계가 적용되었다. 특히.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할당, 의도적 및 편의적 표집 모델을 적용하여 연구 대상을 표집하였다. 표집된 교장, 교사 및 학생들로부터 네팔 통합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차별화 교수의 현실과 문제에 관한심도 있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반구조화 면담스케줄, 전문가 집단 토의 및 학급 관찰이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아주 특별한 일부 사례를 제외하면 장애학생의 특별한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수 활동이 신중하게 조정되거나 차별화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선수 지식의 부족, 학교의제한된 자원, 교사들 간의 협력 부족, 비호의적인 학습 환경, 대안적 평가 절차의 부족 등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교수 차별화를 저해하는 주요 문제인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