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90년대 여성문학이 성취한 탈낭만화 이후의 여성담론을 살펴보고, 돌봄의 젠더평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2010년대 여성담론은 정체성 정치, 여성 혐오, 정치적 올바름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다. 그러나 과잉된 ‘여성성’ 논의와 ‘차이의 정치학’은 젠더불평등의 2차원적 문제 중 인정투쟁에 편중한 것이고, 상대적으로 분배문제를 간과해왔다. 본고는 경제적 불평등과 성별노동에 초점을 맞춰 여성의 일과 가사노동, 돌봄의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의 여성 혐오와 ‘맘충’이라는 비하에는 가정과 ‘엄마’의 영역에 침범한 자본주의적 발상의 실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가사와 돌봄’을 둘러싼 심각한 젠더 부정의에 대해 이의제기하고 있다. 낸시 프레이저는 신자유주의 레짐이 사회복지 투자를 철회하고 여성 인력을 유급노동화함으로써 심각한 돌봄공백을 가져왔다고 비판하고 있다. 낸시 프레이저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3가지를 언급한 바 있다. 보편적 생계부양자 모델, 동등한 돌봄제공자 모델, 보편적 돌봄제공자 모델이 그것이다. 이 중 첫 번째는 남성을 보편화하고 있고, 두 번째는 여전히 차이를 재생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모든 사람을 ‘돌봄’의 주체, 즉 여성으로 상정하는 세 번째 방안을 적극 제시한다.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에서 동성애 커플과 치매노인을 돌보는 여성 화자는 낸시 프레이저의 세 번째 대안의 의미심장한 실현일 수 있다. ‘나’와 딸의 동성커플은 ‘돌봄공동체’로 연대하면서 혈연가족이데올로기와 동성애 혐오를 횡단하고 동시에, 보편적 돌봄 제공자 모델을 체현하고 있다. 2010년대 이후 여성담론은 인정투쟁과 분배투쟁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남성과 화해롭게 공존할 수 있는 페미니즘에 대해 궁구해야 한다.


This paper studies feminism achieved by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after post-romanticization and considers the gender equality of care for family. Feminism discourse in the 2010s has consisted mainly of identity politics, misogyny, and political correctness. However, the excessive discussion of ‘femininity’ and ‘political politics of difference’ are concentrated on the struggle of recognition of women among the two-dimensional problems of gender inequality, and have overlooked the problem of economic distribution relative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blems of women’s work, housework and caring, focusing on economic inequality. Jo Nam-Ju’s Kim Ji-young, who was born in 1982 represented a contempt of women and ‘Mom worm’, showing the reality of the capitalism that has invaded the realm of the family and mother, and the objection to the serious gender negation of ‘housework and care’. Nancy Fraser criticizes the Neo-liberal regime for withdrawing social welfare investment and forcing women to work under paid labor, resulting in serious care gaps. Nancy Fraser has mentioned three alternatives to this. Universal livelihood support model, equal care provider model, and universal care provider model. The first one is universalizing male, the second is still limited in that it reproduces the difference, and positively suggests a third method of assuming everyone as the subject of ‘care’, that is, women. In Kim Hye-jin’s novel About Daughter, a female speaker who cares for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with daughter’s homosexual lover can be a meaningful realization of Nancy Fraser’s third alternative. ‘I’ and daughter’s lover, while cooperating in caring community, cross the family ideology, homophobia and embody the universal caring provider model. Since the 2010s, the feminism discourse must contemplate how feminism can coexist harmoniously with men, taking into account both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that of distrib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