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학습은 개인적 인지발달이라기 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인지발달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집합적 사고는 과학학습과 과학적 문제해결에서 핵심적인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적 및 질적연구방법(담화분석)을 통해 과학적 문제해결과정에서 형성된 집합적 사고와 상호작용영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탐구중심과학수업에 참여한 9학년 학생들의 담화를 분석한 결과 집합적 사고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문제해결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반면 담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집합적 상호작용영역을 형성한 모둠은 집합적 사고를 통해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과정에서 과학개념 이해와 새로운 과학지식을 형성하면서, 과학적 지식을 발달시키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집합적 사고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집합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In a sociocultural perspective, learning can be considered as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rather than individual cognitive development. The collective thinking can be crucial in science learning and scientific problem solving. In this study, we researched cases of collective thinking and zone of interaction dur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science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in a grade 9 science class designed to undertake inqui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We found that students who thought collectively couldn't solve scientific problems but students who engaged actively in science discourse and thought collectively succeed to solve the problem. The students tended to develop their scientific knowledge, understanding concepts and shaping new scientific knowledge. We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be provide opportunities that involve in collective thinking activity and proper feedback to facilitat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