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여 한국사회에서 자율성, 사회적 가치, 정치적 관심,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탈물질주의적 가치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2001년에 비해2010년에는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의 요인들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은 2001년에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0 년에 독자성과 탈권위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가치에서는 2001년에는 인권존중, 2010년에는 인권존중, 인도주의적 사회로의 발전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관심에서는 2001 년에는 정치적 관심, 2010년에는 정치적 관심, 정치 중요성, 정치성향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에서는 2001년에는 사회참여 경험, 2010년에는사회참여 경험, 직장과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구성원들의 가치의 변화에 따른 기대와 요구에 대한 수용을 통해 정부신뢰가 제고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onomy, social values, political interest, and social participation in Korea (2001-2010) on government tru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from 2001 to 2010, the increase in post-material values in Korean society has increased the impact on government trust. Over time, autonomy, social value, political interest, and social participation increased the effect on government trust in Korea. While autonomy did not affect government trust in 2001; In 2010, autonomy and respect for authority affected government trust. In social values, respect for human rights affected government trust in 2001; In 2010, the perception of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in a humanitarian society affected government trust. In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interest affected government trust in 2001; In 2010,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importance, and political orientation affected government trust. In social participation, an experience of social participation in 2001 affected government trust; In 2010, an experience of social participation, workplace, and social participation influenced government tr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