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베르그손과 들뢰즈의 철학은 지속과 차이라는 용어로 존재론을 다시쓴다. 이러한 새로운 존재론은 현상 너머의 존재가 여전히 사유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우리의 경험세계가 경험을 구성하는 주관적 조건아래에서만 성립하는 것으로 본 칸트 이래로, 경험적 대상과 주관적 조건의 상관성은 넘어서기 어려운 경험의 한계를 근거 지었다. 그러나 베르그손은 칸트의 감성형식을 비판하며 직관의 내용에서 실재와 부분적 일치를 찾는다. 인간 경험의 유일한 내적 형식인 지속 안에 들어온 경험의 원천을 사유함으로써 외부대상의 운동성을 파악할 수 있다. 베르그손은 이를 실재를 파악하는 형이상학적 방법으로서 ‘직관’이라고 규정하며, 이를통해 실재의 운동성을 파악하는 ‘전체적 경험’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들뢰즈는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기 위해 베르그손적 사유를 칸트와 훗설에대비시켜 강조했지만, 그가 상관성 너머 존재를 사유하는 가능성을 찾은논리는 베르그손의 것과 사뭇 다르다. 그가 비판한 것은 선험적 능력들이대상에 동일한 개념을 부여하는 오성의 지배하에 일치하면서 이루는 경험의 조건이 모든 가능한 경험의 유일한 조건이라는 주장이다. 칸트의 후기 철학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험적 능력들은 권리상 ‘자유로운일치’가 가능하다. 이 가운데 우리가 ‘숭고함’을 체험할 때와 같이 인식능력이 경험을 발생시킨 것을 사유하는 데 이르는 ‘초월적 실행’을 할 때가있는데, 이러한 계기가 우월한 경험론 또는 선험적 경험론을 가능하게 한다. 권리상 가능한 자유로운 능력들의 일치 또는 부조화를 들뢰즈는 ‘정신분열’이라고 표현하며, 그로부터 차이로서의 존재를 사유할 가능성을연다. 두 철학자는 공통적으로 우리의 경험이 구성되거나 또는 발생되는조건들을 탐구함으로써 ‘즉자적으로 있는 것’을 사유할 수 있다는 것을보여준다. 이것이 그들이 경험론의 이름으로 새로운 형이상학적 사유를연 이유이다.


In the thoughts of Bergson and Deleuze, we can find a new ontological thesis in terms of duration and difference. To maintain the ontology of becoming, it needs to show that we still can think the things beyond the phenomenon which appear to us. Since Kant set limits on what we can know, it has been thought impossible to think the thing itself beyond the subjective transcendental condition for all constitutions of our experience. However, especially by criticizing the transcendental form of sensibility, Bergson suggests that there are parts which coincide with the external reality in our perception. Considering our proper duration as an internal form for experience, we can think the sources of experience which appears to us as quality — the sources which are durations different from that of our inner life. Bergson defines this kind of metaphysical method to grasps the external duration as the intuition, which makes possible “the integral experience”. The logic of Deleuze to go beyond the wall of what is defined as correlationism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ontological specula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Bergson. He shows that the condition of experience constructed by the accord of different cognitive transcendental faculties – sensibility,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 is not the only condition for all possible experience. As we can see in the later philosophy of Kant, free accords are possible between transcendental faculties. For example, when we encounter something sublime, our sensibility matches directly with the reason which is the faculty to figure out the thing itself. It transcends its limit by forcing us to think something which makes our experience possible. By the transcendent exercise of faculty, superior empiricism or transcendental empiricism can be possible — empiricism which makes us think something to generate our experience. Deleuze uses a special term “schizophrenia” to express the free accords or discordances between faculties which are not determined by concordance by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In conclusion, Bergson and Deleuze show us that we are able to think things beyond phenomenon by re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our experience. That’s the reason why these philosophers open a new realm of metaphysical thoughts by the name of empiric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