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동여지도는 19세기 조선의 지리학과 지도 제작 기술이 나은 훌륭한 문화유산이고, 이를 만든 김정호는 뛰어난 지리학자요 지도 제작자다. 그러나 그가 전국을 몇 번씩 직접 답사했고 백두산에 세 번 올랐다는 답사설, 대원군이 탄압해 목숨을 잃었다는 옥사설은 모두 근거 없는 신화일 뿐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신화들이 어떻게 탄생하고 확장되었으며, 지금까지 계속 재생산되고 있는지 추적했다. 최남선이 단초를 제공한 김정호 신화는, 신영철과 최진순이 소년 잡지에서 구체적인 이야기로 만들었다. 최남선은 김정호는 일본의 이노우 타다타카와 비견할 만한, 아니 더 나은 인물로 만들었고, 이후 신영철과 최진순이 소녀 잡지에서 구체적인 이야기로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부정확한 정보와 과장, 날조가 뒤섞이며 ‘위인’으로서 일대기가 창작되었다. 시대의 문화적 소산인 대동여지도는 부정되고, ‘위인’ 김정호가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어 세계적 문화유산 대동여지도를 만든다는 신화가 등장했다. 이 신화 속에서 조선은 야만과 미지의 땅이 되고, 김정호는 자기 땅을 방랑하는 탐험가가 되었다. 민족주의의 신화가 민족적 자기 부정의 논리가 되는 역설이 만들어졌고, 조선총독부의 교과서에 실리게 되었다. 교과서에 실리면서 김정호의 이야기는 보편적인 상식이 되었고, 해방 이후 국민국가에서도 국민적 과학 위인으로 지위를 유지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의지의 한국인상을 구현한 역사적 인물로 더 각광을 받았다. 김정호 신화는 특정한 목적 하에서 만들어낸 역사가 얼마나 쉽게 권력의 이데올로기로 전환되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다.


Daedongyeojido is Korea’s treasured cultural heritage from the 19th century, representing the map making technology and the level of geographical studies of the times. Kim, Jung-ho, the mastermind behind the map, was an outstanding map maker. However, the legend that he surveyed the entire country by foot, that he climbed Mountain Baekdoo three times and that he lost his life because Heungsundaewongoon (father of King Kojong and the most powerful political figure at the time) did not like Kim Jung-ho, is all just a groundless myth.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is myth is created, expanded and continuously reproduced even to this day. This myth surrounding Kim was first initiated by Choi, Nam-sun, and was further developed into a plausible story by Shin, Young-chul and Choi, Jin-soon in an article in the monthly magazine. Choi N.S. portrayed Kim as a figure comparable to and even better than Japan’s Ino Tadataka. Shin and Choi J.S. added further features to the story. In this process, inaccurate information, exaggerations and out-right lies were added to the story, creating a ‘heroic tale’of Kim as a legendry figure. Daedongyeojido was denied of its actual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and instead, used as a mere tool in the making of the myth of Kim as a ‘hero’. In his myth, Josoen is portrayed as a land of savage and unknown, and Kim is depicted as an explorer wondering around his country. This narrative results in the nationalistic myth paradoxically serving as self-denial. The story is ultimately introduced in the textbooks made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ecoming a textbook material, Kim’s story came to be known and accepted as common sense and even in the years that followed, Kim remained a national science hero, depicted as an eager, determined figure that epitomized the strong-willed Koreans. Kim’s myth is a clear example of how a made-up history with a specific purpose in mind can easily be transformed into an ideological tool to be used by those in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