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플라톤과 회화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맥락에서 논의되지만, 사실 그 관계는 간단하지 않다. 특히 원근법을 논의 대상으로 삼았을 때, 상황은 매우 복잡하고 미묘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구 미술사에서의 플라톤주의와 반(反)플라톤주의의 길항을 원근법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했다. 이로써 플라톤과 미술의 관계가 단지 그리스에서 일회적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미술사 전체를 관류해서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어떤 근본적인 문제-틀(problématique)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첫째, 플라톤 철학의 성격을 ‘진품 가려내기’와 ‘측정술’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 ‘모방술’, ‘사상술’, ‘허상술’의 개념을 구분함으로써, 왜 플라톤이 당대의 예술적 경향 ― 본 논문의 용어로 ‘현존의 미학’ ― 을 비판했는가를 해명한다. 둘째, 플라톤과 고대 원근법 ― 본 논문의 용어로 ‘프로토-원근법’ ― 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해 플라톤 당대에 일어난 예술적 변화를 특히 ‘배경화’의 등장과 ‘현존의 미학’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이런 미술사적 배경에 입각해 플라톤의 관점과 게미노스의 관점을 비교한다. 그리고 프로토-원근법의 등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광학에 대해 살펴보고, 플라톤이 광학의 등장을 꺼렸으리라는 점을 가설적으로 논한다. 셋째, 근대 원근법의 등장이 함축하는 반(反)플라톤적 상황을 논하고, 하지만 과연 원근법이 꼭 반-플라톤적일까 라는 물음을 던진다. 그리고 에른스트 마하 등 현대 철학자들의 원근법 비판이 함축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본다. 결론적으로 원근법은 한편으로 반-플라톤적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플라톤적인 기법이었음을 음미한다.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는 플라톤의 미술 비판은 플라톤 당대를 넘어 미술사 전체를 관류하는 중요한 한 존재론적 문제-틀임을 확인한다.


In general, the relation between the philosophy of Plato and the art of Greece has been regarded as negative. However, it is not as simple as first seen. The situation may be very complex and delicate, especially when we choose the perspective drawing as our object of discuss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the antagonism between Platonism and Anti-Platonism in the history of occidental art, focusing on the perspective drawing. Thus, it makes efforts to show that the relation between Plato and art is not a single event that happened in Greece but fundamental problematics which is continued even today. Thus, first, it interprets the philosophy of Plato focusing on the “authentication” and “science of measure”, and clarifies the reason why Plato criticized his contemporary stream of art, distinguishing the “technique of imitation”, “technique of icon”, and “technique of simulacre”. Second, it examines the artistic change of the time of Plato, especially the emergence of stage-painting and “the aesthetics of presence” for explaining the relation of Plato and antic perspective drawings, which we can call “proto-perspective”. Moreover, it compares the perspective of Plato and that of Geminos from this background of the history of art. In addition, after examining the absence of optics in Platonic sciences in relation to the emergence of proto-perspective drawing, it discusses the hypothesis that Plato had reluctance for the emergence of optics. Third and finally, this article explicates the situation of anti-Platonism, which is implies the appearance of modern perspective drawing, and asks the question whether the perspective drawing is indeed an anti-Platonic art. Furthermore, it examines the insistences of Ernst Mach, Nelson Goodman and so on who criticized the perspective drawing. In conclusion, we are able to see the duality of that, Platonic and simultaneously anti-Plato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