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individual tradition when reading classical texts. However, they tend to frustrate readers because the former does not give the specific answers that the latter wishes to know. Even if it were the case, I believe that individual does not need to refrain from casting critical questions. Gzhan stong is a good topic for understanding Tibetan Buddhism in that it is legitimized by fully utilizing such Buddhist philosophies as Tathāgatagarbha, Madhyamaka, Yogācāra, etc. Here, I point out circular reasoning and paradox in terms of definition, hermeneu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non and meditation that Tibetan gzhan stong scholars do not cast doubt upon. By raising the issues from a modern perspective, I attempt to make them into stepping-stones for my future study of gzhan stong.


고전 텍스트 독해에서 해당 전통의 문맥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독자가 특정한 답을 얻기 위해 텍스트를 읽는 경우 텍스트는 원하는 답을 주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것은 고전학을 하는 사람들을 좌절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렇다고 그 질문들을 굳이 유보하고 있을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필자는 타공 (他空, gzhan stong) 철학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평소 가지고 있던 질문들을 던져 보고자 한다. 타공은 그것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중관•유식 철학이 온전히 이용된다는 점에서 티벳 불교의 이해에 좋은 토픽이다. 여기서 필자는 논리적 측면에서 타공을 옹호하는 학자들이 답하고 있지 않는 지점으로 보이는 역설과 순환 논증에 대해 용어의 정의, 해석학, 그리고 경전과 수행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