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현상학이 인지과학에 기여하는 방법론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이 있었으며, 그 중 널리 논의되는 하나의 방법론이 갤러거가 주창한 ‘선행적재 현상학’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선행적재 현상학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지과학자들에게 큰 관심을 끄는 한 가지 현상, 즉 ‘읽기에서 지각장 비대칭성(APSR)’에 주목하고자 한다. 지난 40여 년 동안 다수 연구자들이 다양한 언어들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했으며, 그 원인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을 내세웠는데, 대표적인 것이 ‘뇌 가설’과 ‘습관 가설’이다. 이 논문에서는 APSR에 대한 기존의 과학적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몇 가지 현상(촉발, 주의, 지각, 시간의식, 습관, 상황 등)을 후설의 현상학에 기초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APSR에 대한 대안적 가설, 즉 ‘상황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어떤 구체적 상황에서 복합적 습관 체계 중에서 어떤 습관이 현행화되는지는 지각의 미래지향성에 의해 규정되는데, APSR이야말로 이러한 지각의 본질을 범례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기존 과학적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과 현상학적 기술에 기초한 이러한 가설을 향후 인지과학 연구 설계에 ‘선행적재’할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Recently, there have been several suggestions about how a phenomenological research can possibly contribute to cognitive sciences, one of which widely discussed is the front-loaded phenomenology proposed by S. Gallagher.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one topic which has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cognitive scientists, i.e. ‘asymmetries of perceptual span in reading (hereafter APSR)’. For 40 years, many researchers identifying this phenomenon in various languages have set up diverse hypotheses about its possible causes, including brain-hypothesis and habit-hypothesis. In this paper, I review some phenomenological theories and descriptions about relevant phenomena such as affection, attention, perception, time-consciousness, habit, and situation based on E. Husserl’s works in order to put forward a seemingly more promising hypothesis for explaining APSR, i.e. situation-hypothesis. In this hypothesis, APSR could be explained as a phenomenon which paradigmatically shows that in most cases it is determined by the future-orientedness of perception which habit from the complex system of habits will be actualized in a concrete situation. Finally, I attempt to front-load this hypothesis from phenomenological considerations to some experimental designs of cognitive 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