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희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희망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희망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대학생의 희망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2014년 9월부터 진로 관련 교과를 이수 중인 대학생 424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하였다. 측정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를 실시한 후 변인 간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전공에 따라 공과계열과 사회과학계열이 자연과학/생활과학계열보다 높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2학년보다 4학년이 높았으며 공과계열과 사회과학계열이 자연과학/생활과학계열보다 높았다. 희망은 2학년보다 3학년이 높았다. 둘째,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희망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이 진로결정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고, 넷째, 희망의 하위요인 중 주도사고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진로교육현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희망을 활용하여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 구체적인 목표설정 방안과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hope on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424 college students studying career related subjects from September, 2015 were survey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for windows. Main finding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or social science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than those in college of natural science or domestic science. Senior students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than sophomore students. And junior students’ hope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sophomore students. Second,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hope ha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level. Third and forth, the goal selection, one of sub factors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gent thinking, one of sub factors in hop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variations in career decision level. Thes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etting of specific goals and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career decision level by utilizing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hope in career education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