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보건복지부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해 고시하였으며, 언어장애 진단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들은 이에 대해 인지하고 임상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공정한 언어장애 판정을 위한 진단평가 지침 수립을 위해 현재 고시되어 있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를 파악하고 언어장애 진단평가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언어재활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언어재활사에게 구글 설문지 주소를 포함한 문자를 발송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362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응답자의 배경정보에 관한 문항 9개, 장애 판정기준 인식에 관한 문항 5개, 장애 진단평가 실태에 관한 문항 9개로 총 2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진단평가 실태에 관한 문항 응답은 장애 유형별 진단 경험 유무에 따라 참여를 제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각 문항의 응답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참여자의 자격증 급수, 근무기관, 임상경험에 따른 인식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 및 피셔의 정확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는 모든 언어장애 유형에서 전반적으로 낮았다. 1급 자격증 소지 집단, 3차 의료기관 종사 집단, 임상경험 10년 이상 집단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인식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장애 진단 시 사용되는 검사 도구 및 검사 결과 산출 방법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 향상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국내 의료기관의 언어장애 진단평가 실태 조사 결과는 추후 언어장애 판정을 위한 진단평가 지침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Purpos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notified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 and the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s) in charge of assessing language disorders have to recognize and consider them in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investigated SLPs’ perception level of the diagnostic criteria by MOHW and current assessment approach of the language disorders to establish proper guidelines of diagnosis for language disorders. Methods: We conducted a nationwide online survey with 23 questions across 3 domains (responders’ characteristics, perception level of diagnostic criteria by MOHW and current assessment approach of language disorders) on SLPs registered with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We analyzed the results of completed questionnaire received from 362 responders. Chi-squared test or Fischer's exact test were used to compare difference in perception level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level, working institution and period of clinical experience. Results: Overall, SLPs’ perception level of the diagnostic criteria by MOHW was low. However, SLPs with the first - level certification, those in a tertiary medical center and those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level than the other groups. The assessment tools used in the diagnosis of language disorders and method of interpreting results varied widel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level of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 by MOHW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guidelines of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