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화용언어는 언어를 특정한 상황과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인데 언어평가 환경은 상황이나 대화 상대방이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를 고려할 때 평가대상자를 잘 아는 양육자가 아동 화용능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보고할 수 있고, 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이 검증된 화용언어체크리스트의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연구에서 신뢰도와 내적 타당도가 검증된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PLC)의 공인타당도와 민감도, 특이도 분석을 통한 임상적 유용성 검증에 있다. 방법: 7~12세 학령기 일반 아동(N=25)과 화용언어문제 호소로 언어치료를 받는 언어장애아동(N=21) 총 45명에게 CPLC와 학령기아동언어검사(LSSC)를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간 차이의 유의성과 두 검사 점수간 상관,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CPLC와 LSSC 점수 간 대체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언어장애 아동 집단이 CPLC의 모든 하위 영역점수와 총점에서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ROC 곡선 분석에서는 CPLC의 모든 하위 영역 점수와 총점의 곡선아래영역(AUC)이 모두 .9 이상이었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가 되는 절단점을 도출하였을 때 담화관리, 상황에 따른 조절, 의사소통 기능 영역 점수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모두 90% 이상이었고 비언어적 의사소통 영역 점수의 민감도와 특이도도 80% 이상이었으며, 총점의 민감도는 90% 이상이었으나 특이도가 50%대로 상대적으로 낮은 양상을 보였다. 결론: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PLC)의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대체로 높아 임상적으로 유용한 척도임을 알 수 있었다. 화용언어문제가 있는 아동의 변별 진단에 있어서는 CPLC 총점만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하위영역 점수와 총점의 두 가지 이상의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권고된다.


Purpose: Pragmatic language often refers to the ability to use appropriate language in various contexts. So it is difficult to assess someone’s pragmatic language in that language assessment is often held in restricted clinical settings with a clinician. As such, th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 parent report checklist, was developed and is being standardized for readily and valid assessment of pragmatic abilities in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test concurrent validity of CPLC with Language Scales for School-aged Children (LSSC) and to verify clinical usefulness of CPLC. Methods: A total of 45 school-aged children (2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21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from CPLC and LSSC tes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o test group differences and level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by ROC curv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all CPLC sub-scores and total scor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CPLC and LSSC scores, which implies stable concurrent validity of CPLC. In ROC curve analysis, all sub-scores and total score in CPLC showed above .9 AUC (area under curve), an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lues for subareas were also substantially high, in the 80 to 90 percent range. However, specificity for the CPLC total score was relatively low at 50%. Conclusions: Concurrent valid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CPLC were confirmed and it is recommended that more than two different scores in CPLC should be use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pragmatic language problems, rather than just the total s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