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경북 의성 지역어의 서부(다인면, 단북면, 단밀면)와 동부(옥산면, 사곡면, 춘산면)의 용언 어간이 ‘Xi-+-əY’의 환경에서 보여 주는 음운 현상을 고찰하였다. 이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음운 현상은 음절에 따라 달리 나타나므로, 먼저 지역을 구분하고 다시 음절수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그 각각을 어간말음절의 두자음(頭子音)에 따라 구분하였다. 이때 자음은 연구개음, 경구개음, 치조음, 양순음, Ø 등이다. 1음절 어간의 경우에는 서부와 동부의 음운현상이 대체로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적용된 음운 현상은 모음의 완전순행동화, 반모음화, 반모음 탈락 등이다. 2음절 어간의 경우 어간말음절의 환경과 관련 없이 서부와 동부는 서로 다른 음운현상이 적용되었다. 서부의 경우 모음의 완전순행동화만을 보여 주는 반면 동부에서는 반모음화 이후 반모음 탈락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occurrence of 'Xi-+-əY' of conjugation in Uiseong subdialect. In order to achieve the aim, first, we examine an argument about the occurrence of 'jə, ə, e, i' at the boundary of morpheme. And we explain the dialect forms concerned with the glide formation, deletion of glide, contraction from 'jə' to 'e', assimilation of vowels affected by preceded vowel 'i'. Contrasted western with eastern parts in uiseong, we classify the forms of one-syllable stem and two-syllable stem according to velar, palatal, alveolar, labial, Ø sound of onset in the last syllable. There is no main difference in one-syllable stem between eastern and western parts in Uiseong. But in two-syllable stem between eastern and western parts in Uiseong,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We only find the assimilation of vowels affected by preceded vowel 'i' in western parts. On the other hand, only the deletion of glide preceded by glide formation appears in eastern p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