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능력 신장에 필요한 교육내용이 해외 한국어교재의 쓰기 활동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장· 문단·글 단위의 쓰기 활동을 위해 필요한 한국어 쓰기 교육내용 범주를 설정하고, 세부적으로 문법 지식, 문장 구성, 문단 구성, 쓰기 과정, 쓰기 장르로 나누었다. 분석 대상은 북미와 호주 대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초급, 중급의 한국어교재 4종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문법 지식, 문장 구성, 과정, 장르, 문단 구성의 순으로 교육내용이 많이 반영되었고, 문장 단위 쓰기는 주로 문법 지식을 학습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문장 단위 쓰기가 단순한 문법 연습으로 끝나지 않도록 단원안에서 문단, 글 단위 쓰기와 연결될 필요가 있다. 문단 단위의 쓰기가 극히미미하여 이를 보완할 교육내용과 활동 연구가 필요하다. 글 단위 쓰기에서과정이나 장르 관련 교육내용은 비교적 많이 반영된 편이나 과정에서는 내용 생성하기와 수정하기에 치우쳤고, 장르에서는 특정 유형의 장르를 쓰도록 지시하는데만 그쳤다. 통합 교재에서 쓰기 활동이 타 언어 활동과 유연하게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s purposes are checking if writing teaching contents for developing writing ability are reflected in Korean textbooks in balance. I discussed about Korean writing teaching contents’ categories for writing sentences, paragraphs and texts. And I divided them 5 like this: grammar knowledges, constructing sentences, constructing paragraghs, writing processes, writing genres. I selected 4 kinds of Korean textbooks that are generally used in North American and Austrailian universities. In analysis, I cound find more teaching contents according to this order: grammar knowledges, constructing sentences, writing processes, writing genres, constructing paragraghs. Writing sentences’ activities need to be connected with writing paragragh or text, for avoiding simple grammar exercises. In writing paragragh, various contents and activities need to be developed to supply it. In writing text, contents about writing processes are restricted in generating ideas and revision. Contents about writing genres are restricted in directing specific kind of genres. To overcome this problems, writing activities need to be connected with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flexibly in same les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