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중소제조업체들은 지속적인 성장 동력 및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유통업체 브랜드 생산(private brand: 이하 PB)을 중요한 성장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PB 시장점유율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중소제조업체의 브랜드 자산, 유통업체의 관계 강화, 매출 증대 등 다양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소제조업체 관리자들은 PB를 생산하는 것이 기업의 성장전략에 중요한 관리적 요소임을 인지하고 있으나, 자사가 기대하는 기업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의문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이론을 토대로 중소제조업체가 PB 생산에 관여하는 동기를 ‘이익추구 동기’와 ‘손실회피 동기’로 구분하고 중소제조업체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조사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중소공급업체의 이익추구 동기인 R&D 역량은 PB 생산 관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마케팅 역량은 PB 생산 관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한편, 중소공급업체의 손실회피 동기인 유통업체의 브랜드 명성과 채널 역량은 모두 PB 생산 관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소공급업체의 PB 생산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시장성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manufacturing SME’s Private Brand(hereafter called PB) production motivation, specifically rent-seeking motivation and loss-avoidance motivation influences their performance. The explici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mechanism through which manufacturing SME’s PB production motivation affects the firm’s performance. Drawing on the resource based theory, we hypothe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PB production motivation(rent-seeking motivation: brand capability, R&D capability, loss-avoidance motivation: brand reputation, and channel bonding capabilities) and performance(financial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through the engagement of PB production. To test the hypotheses, response were obtained from 201 manufacturing SME’s in South Korea. The proposed model was estima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R&D capabilities, brand reputation, and channel bonding capabil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engagement of PB production, but marketing capabilities was not . Also, the engagement of manufacturing SME’s PB production positively associated firms’ financial and market performanc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discussed, together with its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