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이버비행 피해와 가해의 관계,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관계에서의 조절변인들의 영향력을 다루려고 했다. 본 연구에서는 조절변인으로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태도 요인와 같은 비행촉진적 조절변인이외에 기존 연구들에서는 다소 소홀했던 주위의 사회지지와 자긍심과 같은 비행완충적 조절변인을 사용했고, 사이버비행의 특성상 사이버비행기회를 또 다른 조절변인으로 고려했다. 본 연구의 결과 사이버비행 피해와 낮은 자기통제력과 는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제시하지 못했지만, 사이버비행 피해와 태도와는 상호작용효과가 크게 유의미해 피해시 사이버비행의 태도는 가해를 촉진한다는 것을 제시했다. 아울러 비록 사이버비행 피해와 부모지지와는 본 연구의 예측과 그 결과가 달랐지만 사이버비행 피해와 친구지지와의 상호작용효과는 부(-)적으로 크게 유의미했고, 또한 사이버비행 피해와 자긍심과의 상호작용효과도 부(-)적으로 크게 유의미하여 본 연구의 완충적 조절효과의 가설을 지지했다. 즉 사이버비행 피해시 친구지지나 자긍심이 높은 청소년의 경우는 사이버비행을 덜 저지르게 된다는 것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사이버비행 피해와 사이버비행기회와의 상호작용효과도 정(+)적으로 크게 유의미했다. 여러 변인들을 함께 고려한 결과에서는 사이버비행 피해와 사이버비행기회와의 상호작용효과가 가장 컸으며, 그 다음이 자긍심 그리고 친구지지와의 상호작용효과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주요 대책 바안을 논의해본다.


This study intends to test the effect of cyber victimization on cyber offending and investigates which variables operate moderating effects. This study uses six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low self-control, attitudes toward cyber delinquency, parental support, peer support, self-esteem, and the perceived opportunity of cyber delinquency. Using data from 35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in Kyunggi area, the study tests interaction effects of cyber victimization and moderating variables on cyber offending.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yber victimization and low self-control i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yber victimization and attitude towards cyber delinquency is positive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yber victimization and peer support negatively significant, whil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yber victimization and parental support is positively significant. It is also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yber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is negatively significant. It is reveal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opportunity is the most significant. Th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