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Lou Ye’s Suzhou River has attracted international attention for its distinctive style and complex narrative. Lou Ye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director of the Sixth Gener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neorealist style and representations of urban marginalities. The film creates interplays between fiction and documentary, past and present, the real and fantasy, and the actual and the virtual. This article re-approaches the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otif of the mermaid and the distinctive role of the camera. The hybrid image of the mermaid leads to explore urban exoticism of a Chinese global city; human-animal mutation and afterlife; and ecological, epistemological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inanimate objects such as waste from a female perspective. The film also has a distinctive way of integrating the camera into the film, which, I think, denotes the transition from neorealism to posthumanism. In the film, the camera’s role is not limited to presenting the so-called “machine vision” but it draws near to a character. Furthermore, machines like a camera seem not only involved in perception within the film but also in creation of the story in Suzhou River. The framing structure of the film mimics algorithmic generation of a story by an intelligent machine. In this sense, the doppelganger characters can be approached in terms of digital simulation. Suzhou River explores interfaces between humans and machine in characters, cinematography and scriptwriting, in other words, both realms of epistemology and ontology. The film defies the exclusive status of humans as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creation.


러우 예의 「쑤저우 강」은 그 독특한 스타일과 복잡한 서사로 중국 내외 비평가들의 관심을 받아 왔다. 러우 예는 신사실주의 스타일과 도시 소수자 문제를 재현하는 특징을 보이는 6세대 감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쑤저우 강」은 허구와 다큐멘터리, 과거와 현재, 사실과 환상, 실제와 가상세계 사이를 넘나드는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데 이 논문은 이 영화를 특히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재접근한다. 이 영화는 인어라는 혼종적 이미지를 통해 중국 글로벌시티의 이국적 도시성, 인간-동물의 변종, 사후세계 등 주제를 탐험하고 인간과 물질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인식론적 질문을 여성의 시각에서 접근한다. 이 영화에서는 또한 카메라가 독특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신사실주의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영화로 전이를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다. 이 영화에서 카메라는 소위 “기계의 시각”을 표현하는 데 그치기보다 영화 속 인물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영화 속에서 카메라와 같은 기계는 “인식”의 수준에 머물지 않고 이야기의 “창작”에도 관여한다. 영화의 액자구조는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적 창작을 흉내 내는 듯하며 그런 의미에서 도플갱어 캐릭터들은 디지털 시뮬레이션과 연관하여 접근할 수도 있다. 이 영화는 인물, 시네마토그라피, 시나리오 창작 등의 영역, 즉 존재론적, 인식론적 영역 모두에서 인간과 기계의 인터페이스를 탐험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