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제2언어 및 외국어로서의 한글 자모 교육에서 문자와 음가를 함께 제시할 것을 전제로 하여, 교재마다 음가 표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장애음의 음가 표기를 효율적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재 한국어 교재에서는 표기 방식이 국제음성기호, 로마자 표기법, 영어 단어를 통한 표기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이거나 음가 표기를 아예 제시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어두 위치의 파열음, 파찰음의 발음을 각 교재의 표기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들이 어떻게 발음하는지 산출 실험을 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그것을 어떤 자음으로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객관적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자음 표기를 도출하였다는 데 기존의 선행 연구 결과와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자음의 음가를 제시할 때 로마자 표기법을 바탕으로 하되, 평음은 유성음 표기로 하고, 격음은 유기성을 강조하여 무성음 표기에 ‘h’를 더하고, 경음은 평음 표기와의 체계적 통일성을 위해 유성음을 반복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음가 표기는 한국어 학습자 중심에서 한국인 모어 화자와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해 유용한 학습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honetic representation of the disordered consonants, which are the consonants most difficult to learn and presented with different phonetic expressions on the premise that they should be presented together with the phonetic and phonetic values ​​in Hangul education as a second and foreign Language. In textbook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notation is dis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international voice symbol, Romanization notation, an English word notation, or may not present the phonetic alphabet at all. In this study, we tried to calculate the pronunciation of plosives and phonemes at the dark place in foreign textbooks, and experimented how Korean speakers recognize them as consonants. The result of this objective experiment is derived from the Korean consonant no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we propose to use the Romanization notation for the consonant sound, but add the 'h' to the unvoiced notation, and repeat the voiced sound. These phonetic representations will be useful learning materials for natural communication with Korean learners in the center of Korean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