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청년세대들의 경제적 독립이 늦어지면서 결혼이 늦어지고 부모세대와 함께 거주하는 청년세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미혼과 실업이라는 생애 비판적인 상황은 이들이 청년세대에서 성인세대로 이행하는 것을 늦추고 심지어는 이행을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세대를 특별히 ‘키덜트’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들은 직장을 가진 이후에도 성인기로의 이행을 늦추며 ‘청소년도 아니며 성인도 아닌’ 독특한 세대를 구성한다. 이들 세대를 부르는 명칭은 ‘피터팬증후군’또는 ‘88세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키덜트족의 증가로 이들이 독특한 하나의 세대를 구성한다고 판단하여 이들이 어떠한 문화와 인지, 생활양식과 학습아비투스를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에 20~30대 어른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린이의 분위기와 감성을 추구하고 간직하는 이들 키덜트 세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은 거의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여가를 통해 그들의 문화를 향유하고 여가활동으로 자아정체성을 실현하는데 그들의 여가는 대체로 동호회를 중심으로 보내고 있다는 특성을 보인다. 키덜트 세대는 우선 취미를 매우 중요시하고, 수집과 전시를 통해 배우며, 도구를 통해 만드는 것을 통해 학습하며, 동호회라는 연행공동체를 통해 학습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lderly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arts lecture as culture arts education, and the leisure, elderly art educ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as elderly education were examined. In the aging society, there are many researches for the elderly in Korea. Especially, leisure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being developed along with the elderly leisure education. Most of these leisure programs, however, are not enough to provide cultural and arts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rough hobby, education, literacy and employment oriented programs. As a cultural arts education for adults who are offered at department stores or cultural centers, elderly people are interested and participate in arts lecture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med consensus by forming the self - esteem by participating in the art classes and narr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s that can occur in the learning field through art educ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In addition, social development of the elderly is carried out through communion outside the learning field, which helps most elderly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loneliness and depression to recognize their social existenc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tudy how to share experiences among learners and pursue a better life through elder art lecture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leisure programs for the elderly will actually develop diverse programs as real cultural arts that give value to the lives of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