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은 OECD 가입국 중에 2번째로 길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근로조건의 격차가 크다. 근무조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는 야간근무를 포함한 교대근무와 심혈관계 질환, 대사성 질환과의 관련성에 관해서 상당한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있으나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로조건이 근로자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여성근로자와 남성근로자의 근로조건의 격차를 고려하여 성별에따른 차이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로 2014년에 실시된 제 4 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임금근로자 36,614명이었고 야간 근무와 장시간 근무와 관련한 세부분석을 위하여 야간 근무와 장시간 근무를 모두 실시하는 근로자 2,771명을 하위집단으로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울은 WHO 5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통계방법으로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남성근로자의 경우 야간근무와 장시간 근무를 하는 근로자들에서 우울 의심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근로시간은 남성의 경우 6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여성의 경우 5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우울 의심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 모두 시간제 근무를 하는 경우 우울 의심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 근무와 장시간근무를 모두 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세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제 근무, 임시·일용근로와 같은불안정한 고용조건이 남성 근로자보다 여성 근로자의 우울 의심 발생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근로자들의 주당 근무시간이 52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야간근무와 장시간 근무를 하는 여성근로자들 중에 불안정한 고용조건에 있는 여성근로자들의 우울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In South Korea, the working hours of employees are the second longest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and the gap of working condition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is large.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cardiovascular disease or metabolic diseases. Relative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working conditions on the depression of wage workers. In order to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 we divided men and women into two groups. We used the fourth(2014)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data. The subjects were 36,614 wage workers. For the detailed analysis, 2,771 wage workers who performed both night work and long working hours were extracted as a subgroup.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WHO-5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cidence of suspicious depression had increased in male wage workers who work at night and for long working hours. Men working more than 68 hours/week and women working more than 52 hours/week showed increased incidence of suspicious depression compared to wage workers working 40 hours/week. Incidence of suspicious depression were increased in both men and women when they worked part time.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of workers who work at night and for long hours, it was found that unstable employment conditions such as part time work had a greater impact on incidence of suspicious depression for women. Therefore, the specific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working hours per week do not exceed 52 hour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against female workers who work night and long hours under unstable employment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