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Commentators have observed numerous Old Testament quotations and allusions in Matthew’s account of Jesus’s baptism and his wilderness temptation (Matt. 3:13–4:11). However, no serious exegetical inquiry has yet been made to survey the Matthean texts (Matt. 3–4) in light of Leviticus 16. This article sets out to examine Matthew’s version of the two inaugural events of Jesus’s public ministry, Jesus’s baptism and his temptation (Matt. 3:13–4:11),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Leviticus 16:20–22. The exegetical evaluation yields the conclusion that the scapegoat ritual of the Day of Atonement (Lev. 16) serves to elucidate Matthew’s witness of Jesus’s baptism, temptation and crucifixion coherently. After his baptism, Jesus emerges as God’s “beloved” Son and perfect atoning sacrifice, who takes “all” sins of Israel to “fulfill all righteousness,” and his beloved sonship challenged by the devil until the crucifixion (Matt. 3:15–17; 27:40, 43). The formal correspondences traceable in Matthew’s Gospel vis-à-vis Leviticus 16 include communal repentance, transference and atonement of aggregate sins, and banishment of the scapegoat into a demon-inhabited wilderness. This inner-biblical interpretation further sheds light on the literary artistry of Matthew’s Gospel (Matt. 3–4), in which allusions to Genesis 22 and Deuteronomy 6–8 are artistically juxtaposed with Leviticus 16 in a triptych layout.


마태복음에 기록되어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세례와 광야시험(마 3:13-4:11)의 본문에는 구약의 집적 및 간접 인용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제까지 마태의 본문(마 3:13-4:11)과 관련해 창세기, 출애굽기, 민수기 그리고 신명기에 대한 문학적 및 신학적 연관성은 충분히 논의됐지만 레위기와의 연계성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레위기의 규례 가운데 특히 대속죄일에 대한 지침이 기록된 16장 20~22절을 중심으로 마태가 서술한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에 초기의 두 사건, 즉 주님의 세례와 시험사건을 비교 연구해 두 본문의 상호 연계성으로 도출되는 신학적 의미를 조명하려 한다. 두 본문의 주석적 비교 분석을 통해 필자는 대속죄일의 희생양 제의식이 예수 그리스도의 세례, 시험과 십자가의 죽음에 대한 마태의 증언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적 토대를 마련한다고 주장한다. 레위기 16장(20-22절)과 마태복음 3장(15~17절)의 유형적 일치점은 공동체적 회개, 집합적인 죄의 전가와 속죄, 그리고 광야로 추방되는 희생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아울러 필자는 세 폭 제단화(triptych)의 비유를 빌어 이 해석이 마태복음의 본문과 관련된 창세기(22장) 및 신명기(6-8장)와 대비되어 상호본문적인 측면에서 마태복음의 복합적 문예성(composite artistry)의 이해를 돕는다고 결론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