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 교육 기관은 전문화 인재를 양성하고 지식, 학문의 재생산, 더 나아가 특정 학문·직업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제시기 공식 한의학 의학교의 부재가 한의계에 있어 학문의 발전, 후속 인력의 양성, 그리고 사회적 역량의 구축 의 면에서 상당히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당시 한의계는 자신들의 주된 탄압 요인으로 공식 교육기관의 미비를 강조해 왔다. 아울러 한의학의 존속을 도모하기 위한 방편으로 민간 한의학 강습소의 설립을 ‘숙원(宿願)’사업으로 삼고, 이를 완수하기 위해 해방 이후까지 꾸준히 노력하였다이 글은 일제시기 한의계가 근대 의학교에 준하는 한의학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어떻게 민간 강습소를 활용하였는지, 그리고 이들 강습소의 운영이 전통 한의학을 변모시키는 데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고찰하였다. 한의계는 서양의학이 유입된 이후 근대 한의학교의 설립을 통해 한의사들의 수준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일병합 이후 일제는 서양의학을 중심으로 정책을 수립하였기 때문에 공식 한의학교는 전혀 설립되지 않았다. 이에 한의계는 병합이후 민간 한의학 강습소를 설립, 운영함으로써 한의학의 후진 양성에 노력하였다. 이런 강습소는 비록 규모나 지위 면에서 제한적이었으나 교육체제에 있어서는 근대 의학교에 준하는 형식을 이미 갖추었다. 즉, 민간 강습소는 한의학 본위의 교육을 견지하면서도 기초의학-진단-임상-약물-침구를 포함한 분과교육 시스템을 형성하여 서양의학 교육체제에 기반을 두고자 하였다.나아가 생리, 해부, 병리 등의 서양의학 기초과목을 한의학 필수과목에 포함시킨 것은 서양의학의 지적, 제도적 헤게모니를 인식하는 가운데 식민권력의 요구에 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교육체제는 1930년대 이후 각도 식민당국이 운영한 강습회나 강습소를 통해 계승, 공고화되어 갔다. 한의학은 이와 같은 강습소의 설립과 운영을 통해 전통 한의학과 다른 모습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The modern education institutes play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professional talents, reproducing knowledge and studies, and forming the identities of certain academic fields and vocational communities. I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the absence of an official Korean medicine medical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a severely disadvantageous factor in the aspects of academic progress, fostering follow-up personnel, and establishment of social capability. Therefore, the then Korean medicine circle put emphasis on inadequate official education institutes as the main factor behind oppression. Furthermore, as the measure to promote the continuance of Korean medicine, the circle regarded establishing civilian Korean medicine training schools as their long-cherished wish and strived to accomplish the mission even after liberation.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 Korean medicine circ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utilized civilian training schools to conduct the Korean medicine education conforming to modern medical school and examined how the operation of these training schools influenced the changes in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medical science, the Korean medicine circle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medicine doctors by establishing modern Korean medicine medical schools. However,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official Korean medicine medical schools were not established since policies were organized centered on the Western medical science. In this light, the Korean medicine circle strived to nurture the younger generation of Korean medicine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civilian Korean medicine training schools after the annex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e schools were limited in terms of scale and status but possessed the forms conforming to the modern medical schools in terms of education system. In other words, the civilian training schools not only adhered to the standard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but also aimed to lay their foundation in the education system of the Western medical science by forming the separated curriculum including basic medical science, diagnosis, clinic, drug, and the practice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Furthermore, having contained the basic subjects of the Western medical science - physiology, anatomy, pathology, etc. - in the compulsory subjects shows perceiving the intellectual and systematic hegemony of the Western medical science and satisfying the demand of the colonial power. Such an education system was succeeded and solidified through the training sessions and the training schools operated by the local colonial governments after the 1930s. Korean medicine becam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the operation of such training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