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과 이혼한 5인의 한국남성들의 결혼해체 경험을 연구참여자들의 개인적, 가족적 특성, 국제결혼에 작동하는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조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결혼 이전의 원가족 경험과 결혼 동기, 결혼생활과 해체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생애사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들의 개별 생애사를 구성하였으며,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불행했던 가족사와 보상심리’, ‘선택이 아닌 결혼’, ‘기대와 다른 결혼생활’, ‘돈으로 이용당하는 관계’, ‘권력관계의 역전’, ‘속수무책의 이혼’, ‘보답 없음에 대한 배신감’, ‘혼자 남겨진 삶을 버티기’ 등 8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제에 대한 분석에서는 불행한 가족사를 국제결혼으로 보상받고자 하는 기대심리, 비혼 중년남성의 결혼에 대한 사회적 압력, 상업화된 국제결혼에 내재한 교환관계의 불안정성, 남성들의 가부장적 성역할 기대와 자신의 이해를 추구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대응에서 나타난 젠더관계의 역동, 결혼이주여성의 양육과 돌봄 역할 지원에 집중된 공적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남성 배제, 국제결혼의 성립과 해체 과정에서 배우자에 대한 원망이 국가 간 위계 및 이주민에 대한 적대감과 결합하여 확장되어 나타난 점 등을 논의하였다. 한국남성의 이주여성과의 결혼 해체는 문화적 융합을 통한 자기 재구성의 실패인 동시에 국제결혼 부부의 문화적 수용과 상호이해를 간과하는 다문화가족 정책의 실패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혼 이후 남성의 생활과 자녀양육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결혼이주여성의 가사와 양육역할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정책 프레임에서 벗어나 부부를 대상으로 상호간의 문화적 존중과 이해를 증진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Korean males divorced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biograph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so their experiences could be understood more integratively As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with 5 participants, 8 themes were derived: ‘unhappy family experiences and compensatory expectations’, ‘marriage without choice’, ‘unexpected marital life’, ‘economically exploitive relationship’, ‘reversed power relation’, ‘helplessness to divorce’, ‘breach of faith’, and ‘standing up alon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included projective expectation to compensate for unhappy experiences of original family, social pressure of marriage on middle aged single men, instability caused by commercialized international marriage system, confliction between husband expecting domestic roles and wife seeking independence, and exclusion of Korean males from public support systems and expanded antagonism toward whole migrants due to the dissolution of individual marriage, which meant dynamics of gender and race politics operating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addition to the hierarchy among economically developed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Also,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reflect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Korean society toward ‘others’ from different cultu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considered as individual failure in reorganization of identity through cultural amalgamation and policy failure as well in supporting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to accept and communicate each other effectively.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chang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from services focusing on supporti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to take domestic and caring roles to integrative services including both husbands and wives encouraging mut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ased on respect to diverse cul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