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고령자를 위한 대중교통정책 개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이에 고령자 통행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계층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중교통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자고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0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의 고령자 계층의 비통근통행(쇼핑/여가/기타 목적)에 있어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 있어 우선적으로 65세 미만의 인구(비고령자 계층)와 65세 이상의 인구(고령자 계층)로 분류하여 기본적인 통행행태의 차이를 살펴본 후, 고령자 계층을 전기고령자(65세-74세)와 후기고령자(75세 이상)으로 세분화하여 통행행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비고령자와 고령자 간의 통행행태의 비교에 있어, 고령자 계층이 비고령자 계층과 확연하게 차이를 보인 점은 고령자 계층일수록 비통근(쇼핑/여가/기타)통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고령자계층의 대중교통 이용율 또한 높아지고 있었는데,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항 로짓분석을 통해 비통근통행에 있어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적지의 버스정류장 수, 시장 수, 병원 수는 고령자들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 고령자(65세-74세)와 후기 고령자(75세 이상)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수와 버스 정류장 수는 전기 고령자 계층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 여가시설 수는 후기 고령자 계층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목적지의 버스 정류장 수는 대중교통이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지하철역과의 거리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령자들의 대중교통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public transportation use of the elderly by age groups in Seoul. Using the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we divided the respondents into three groups based on age – non-elderly (less than 64 years of age), pre-elderly (between 65 and 74 years old), and post-elderly (over 75 years of age). Then,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ravel pattern between age groups and the determinants of public transportation use by different age groups.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pre- and post-elderly groups have different travel patterns compared to the non-elderly group. The pre- and post-elderly groups are more likely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than the non-elderly group. The post-elderly group is more likely to walk than the pre-elderly group. The determinants of public transportation use are variable among different age groups in the elderly. Access to bus stops and hospita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transportation use in the pre-elderly group, whereas elderly leisure fac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post-elderly group. Access to markets has an impact on public transportation use in both the pre-elderly and the post-elderly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