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통령의 정책 메시지의 특성(질)에 대한 평가가 국민 관점에서 대통령의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 언론 소통에 대한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이들 요인들이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상호 소통 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통령 메시지의 공중 소통 활성화 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조방정식 연구 모형은 자료와 부합하는 양호한 적합도를 보여 주어 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대통령의 정책 메시지의 질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가는 대통령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인 정부, 국회, 지자체와의 소통 정도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보여 주었고, 대통령의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에 대한 언론 보도 정도의 인식에도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모형의 최종 종속 변인인 정책 이슈에 대한 국민 상호 간의 활발한 소통에 대해서는 대통령과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 그리고 대통령의 메시지의 질 두 요인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국민들의 정책 관련 소통에 대해 대통령의 메시지의 질이 미치는 직접 효과와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 정도를 매개로 한 간접 효과를 비교한 결과 직접 효과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그 학술적, 실무적 함의를 심층 토론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resident’s policy message features affect the perception of president’s communication with main stakeholder and people’s mutual policy communication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public communication acti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del showed a good fit with given data. President’s policy message features positivel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president’s communication with government offices, congress, and local governments. Also, president’s policy message features positively affected perceived level of media coverage for president’s communication with aforementioned stakeholder. Third, president’s policy message features and the perception of president’s communication with government offices, congress, and local govern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of people’s mutual policy communication. Moreo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direct effect of president’s message features was larger than the indirect effect via the perception of president’s communication with government offices, congress, and local governments on people’s mutual policy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cholarly and practical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