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네이션과 종족성의 관계에서 네이션/민족, 민족주의에 관한 개념사적, 인식론적 성찰을 모색한다. 네이션/민족, 민족주의에 관한 기존 논쟁은 보편과 특수의 문제, 전근대와 근대의 단속성의 측면을 간과한 채 비생산적인 논의를 전개해왔다. 이 글에서는 네이션/민족의 근대성을 전제하고 전근대성과 근대성의 연계에서 종족성의 정치가 갖는 불연속성과 연속성을 함께 고찰하며 이러한 맥락에서서구와 한국의 역사적 경로의 차이와 변이를 분석할 것이다. 네이션/민족의 이해에서 그동안 간과되었던 종족성의 정치를 전근대와 근대, 서구와 비서구의 이분법을넘어서는 개념적, 분석적 도구로 제시하며 이러한 인식론적 성찰을 한국의 사례에적용, 검토해 본다. 이를 통해 한국적 예외론의 덫에서 벗어나 네이션/민족에 관한연구에서 대안적 성찰과 분석을 모색한다.


This article offers a conceptual and epistemological analysis of nation/minjok and nationalism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 and ethnicity. Prior research often overlook the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and between modernity and pre-modernity in the studies of nation and nationalism. This article thus examines the historical difference and variations between Western Europe and Korea with a focus on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politics of ethnicit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odernity and modernity. It critically reviews the key words related to nationalism such as their conceptual gaps, nation/minjok as an ensemble of reality and imagination, modernist constructivism, premodern ethnic polity and ethnicity, function of ethnicity, and national/minjok identity in contemporar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