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객실승무원 취업준비생들의 직업가치와 객실승무원의 직업이미지가 취업준비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직업이미지의 매개역할을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소재의 항공서비스 관련 전공대학생과 승무원 양성교육 기관의 취업준비생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1일부터 4월 30일까지 420부를 배포,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다수의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한 35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구성개념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변수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직업가치를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의 두 요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가치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과시적 가치는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개방적 가치는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를 보였다. 둘째, 직업가치가 직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는 모두 국제 이미지와 유능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선망 이미지에는 과시적 가치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업이미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국제 이미지와 유능 이미지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업가치와 진로결정수준과의 영향 관계에서 유능 이미지는 과시적 가치와 개방적 가치에서, 그리고 국제 이미지는 과시적 가치에서만 진로결정수준과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직업가치가 높은 취업준비생일수록 입사 후 직무 이해도와 적응도가 높아 이직의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단순한 이론이나 실습, 정보전달이라는 한계를 넘어 올바른 기준 확립 프로그램 연구와 개발 및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job-seeking students' occupational value and career image influence their career decision level.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420 questionnaires from April 11 to April 30, 2016, and 355 cop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occupational value were conspicuous value and open value, and three sub-factors including international image, competent image, and enviable image went into the career image. Second, open value only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Third, conspicuous value and open value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national image and competent image; however, only conspicuous value had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enviable image. Fourth, international image and competent imag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Fifth, conspicuous value and open valu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competent image. On the other hand, conspicuous valu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rnational image. It indicated that job-seeking students with full occupational value would have less turnover intention because of full comprehension and adaptation to the job. Thus, research and development beyond simply practicing in training programs for occupational value are needed for flight attend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