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여행상품상담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고용불안이 정서적 소진과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소진과 직장-가정갈등이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소재하며 기획여행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여행사의 여행상품상담사 186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감정노동, 고용불안, 정서적 소진, 직장-가정갈등, 직장생활만족, 가정생활만족 모두 단일차원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 결과 감정노동과 고용불안은 정서적 소진과 직장-가정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 소진은 직장-가정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소진과 직장-가정갈등은 직장생활만족과 가정생활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과 가정은 따로 분리되어 있지만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는 가정으로 그대로 전이되어 결국 가정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insecurity on emotional exhaustion and work-family conflict in travel counselors. In addition, we tried to verify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work-family conflicts on work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labor, job insecurity, emotional exhaustion, work-family conflict, work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all analyzed in a single dimens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emotional labor and job insecur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and work-family conflict. Also, emotional exhaus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family conflicts. In addition, emotional exhaustion and work-family conflic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rk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fact that stress in the workplace is transferred to the home because the workplace and the family are separate but mutually cooperated.